중국 정부가 물류센터 등 핵심 기반시설 여러곳을 포함해 영국 부동산 250곳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고 가디언이 27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중국이 영국의 공급망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영국 내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최근 외국 기업 소유 부동산 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중국 정부가 실소유주인 부동산 규모를 파악하게 됐다. 10여 기업을 통해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해당 자산의 궁극적 실소유자는 중국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CIC)로 나타났다. CIC가 소유한 부동산에는 식량·상품 유통에 필수적인 물류센터를 비롯해 소매점 집결 지역, 산업지구, 사회 기반시설이 다수 포함됐다.
CIC가 부동산 구입에 투입한 비용은 최소 5억8000만파운드(약 8088억원)로 추산됐다. 가디언은 “CIC가 외국 기업 명의로 소유해 구체적인 규모와 상세 매입 내역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일부 기록이 불완전한 점 등을 고려하면 실제 투자 금액은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몇 년 새 영국에선 중국의 투자와 기업 활동을 놓고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국은 지난 2020년 5G 이동통신망 구축 사업에서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 장비를 제외하기로 했고, 시즈웰C 원전 프로젝트에서도 중국 국영 기업을 뺐다. 보수당 대표를 지낸 이언 덩컨 스미스 하원의원은 중국의 영국 투자 상당 부분이 다른 국가의 기업으로 ‘위장’한 채 이뤼진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공급망의 주요 부분에 상당 규모 투자를 하는 이유에 대한 의문이 든다”며 “대학이나 기술 분야, 공급망 등 핵심 영역에서 이뤄진 중국 투자 전체에 대해 전략적인 감사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