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 시각) 프랑스 전역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제7차 시위가 열렸다. 대규모 시위가 이어진 가운데 이날 상원에선 정년 2년 연장을 골자로 하는 연금 개혁안이 통과됐다. 마크롱 정부는 안정적 재정 기반 구축을 위해 연금 수령 개시 시점을 현행 62세에서 64세로 늦추는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내무부 추산 36만8000명, 주최 측인 노동총동맹(CGT) 추산 100만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했다. 6차 시위 때 정부 추산 128만명이 모인 것에 비하면 규모가 크게 줄었다. 이날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에서는 연금 개혁 법안이 찬성 195표, 반대 112표로 가결돼 1차 관문을 통과했다. 아직 하원은 이 법안에 대해 동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15일 양원 공동위원회에서 최종안을 마련해야 한다. 최종안을 두고 16일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표결에 들어갈 예정이다.
철도·항공·발전소·폐기물 처리 부문 등에서 무기한 파업을 예고한 일부 노조는 7일부터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파리 환경미화원들도 파업에 동참하면서 길거리 곳곳에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파리 시장실 측은 파업으로 인해 쓰레기 소각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수거하지 못한 쓰레기가 4400t에 달한다고 밝혔다. 시위대가 쓰레기 더미에 불을 지르면서 경찰과 충돌도 벌어졌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조프루아 불라르 파리 17구 구청장은 CNN에 “쓰레기가 넘쳐나면서 쥐와 같은 설치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파리의 이미지가 나빠질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전날 노동조합의 긴급 회동 요청을 거절하며 서한을 보내 “연금을 줄이거나, 세금을 올리거나, 우리의 자녀와 손자에게 재정적 부담을 지우지 않기 위해 프랑스인들이 조금 더 오래 일하게 하기로 결정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한 “정년 연장은 지난해 대선 때 내세운 핵심 공약 중 하나였다”면서 “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할까 봐 우려하는 많은 프랑스 국민의 불안을 외면할 순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