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윤희숙 진보당 대표와 강성희 원내대표를 비롯한 참가자들이 '일본 핵오염수 해양투기 결정 규탄 항의서한'을 전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경찰이 항의 서한 전달을 제지하자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며 항의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로 표기) 해양 방류를 이르면 24일 오후 1시에 시작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최초 방류에 앞서 전날 오염수 약 1t을 희석 설비로 보내 바닷물 1200t과 혼합했다.

22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4면 전체에 ‘일본의 방류가 한국을 양극화(polarizes)시킨다’는 제목의 기사를 싣고 한국 내 찬반 논란과 한일 관계를 비중 있게 다뤘다. 특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의결이 (정치적) 양극화가 심한 한국에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며 갈라진 국론을 조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 논쟁이 이웃 간의 새로운 우정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지난주 한·미·일 정상회의로 결속을 강화한 한일 관계에 오염수 문제가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점을 지목한 것이다.

22일 자 뉴욕타임스 4면에 실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기사. /뉴욕타임스

NYT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태평양 지역 국가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윤석열 정부에 반대하는 세력이 현수막, 유튜브 동영상, 기자회견, 시위를 통해 이 문제를 공론화해 정치적 논쟁을 촉발시켰다고 했다. 한국 사회에서 이 논쟁이 여야가 첨예하게 맞서며 정치적으로 사용되면서 오염수 방류의 과학적 진실과는 별개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NYT는 “한국에서는 일본과 관련된 이슈가 종종 불꽃을 일으킬 때가 있고 서울 도심에서는 시위대가 격렬하게 대치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또 “한국 정부가 매일 브리핑을 열어 후쿠시마 오염수는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국민을 설득하고 있다”고 했다.

지면에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한국 시위대의 사진도 담았다. 또 2008년 광우병 사태와 2017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와 관련해서도 국론이 분열돼 전국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며 “광우병 시위 때는 서울 중심부가 몇 주간 마비될 정도였다”고도 했다.

오염수 방류가 한·미·일 동맹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NYT는 “정부를 비판하는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오염수 방류 계획에 동의했고, 이는 미국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며 “한국에서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찬반 논란은 최근 한·미·일이 강화한 협력 관계의 진전을 복잡하게 만드는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