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은 8일(현지 시각) 하마스 등 내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지난 8월부터 하마스가 이란과 함께 이번 계획을 준비해왔다고 전했다. 이란 대통령 에브라힘 라이시가 이날 내각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로이터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 하마스가 7일(현지 시각) 이스라엘을 기습적으로 공격하기 전 이란 보안 당국자들이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 최종적으로 승인까지 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JS)이 하마스와 레바논의 헤즈볼라 등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8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이란의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장교들은 지난 8월부터 하마스와 함께 지상, 공중, 해상 등에서 이스라엘의 국경을 침공하는 계획을 준비해왔다고 한다. 하마스와 레바논의 헤즈볼라 등 이란이 지원하는 4개 무장단체, IRGC 장교 등이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수차례 회의를 열고 작전의 세부 사항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 신문은 헤즈볼라와 팔레스타인해방인민전선, 하마스 등이 함께 이스라엘을 사방에서 위협하는 다중 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이 작전의 핵심이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실제 하마스가 공격을 한 뒤 헤즈볼라도 이스라엘 점령지에 대한 박격포 공격에 나선 바 있다.

아직까지 미국 정부와 이스라엘을 공격한 하마스 등은 이란이 이번 사태의 배후라는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이 공격을 지시했거나 배후에 있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면서도 “이란과 하마스는 오랜 관계를 맺어왔다”고 했다. 하마스의 고위 관리인 마흐무드 미르다위는 ‘이란 배후설’을 묻는 WSJ의 질문에 “팔레스타인과 하마스의 결정에 의한 것”이라면서 하마스의 자체 결정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유엔 주재 이란 공관 대변인은 “하마스의 행동을 지지하지만 그들에게 지시하지는 않았으며 그들이 내린 결정은 지극히 자율적인 것”이라고 했다.

런던대학교 SOAS 중동연구소 소장 리나 카티브는 WSJ에 “이 정도 규모의 공격은 수개월 간의 계획이 있은 후에야 일어날 수 있었고 하마스가 이란과의 조율을 하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레바논의 헤즈볼라와 마찬가지로 하마스는 이란의 명시적인 사전 동의 없이 단독으로 전쟁 참여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라고 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