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러시아가 최근 석 달간 국제 사회의 눈을 피해 무기 거래를 지속해 온 정황이 포착됐다.
블룸버그통신은 26일(현지시각) 북한 나진항 위성사진에서 10월부터 12월 초까지 러시아 선박이 드나들며 선적 컨테이너 수백 개를 실어 가는 모습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나진항은 미국이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의심 장소로 지목한 곳이다.
최근 파악된 거래 정황은 지난 9일이다. 당시 나진항에서는 미국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 컨테이너선 앙가라호가 화물을 싣는 모습이 찍혔다. 또 항구 주변에는 러시아로 보낼 것으로 추정되는 컨테이너 여러 개가 쌓여있기도 했다.
매체에 따르면 러시아 선적들은 대부분 국제 해상 응답기를 끈 채 운항해 사실상 ‘유령선’인 상태였다. 따라서 해상 레이더에 잡히지 않을뿐더러, 나진항과 러시아 두나이항이 180㎞ 떨어져 있어 비교적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움직임이 쉽게 포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오스트리아 민간연구기관 오픈뉴클리어네트워크(ONN) 신재우 분석가는 블룸버그에 “위성사진을 보면 나진항과 두나이항을 오가는 배들의 이동은 10월 미국의 추가 제재 발표와 지난 몇 달간 이어진 언론 보도에도 불구하고 줄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지만으로는 화물의 성격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선박 왕복 횟수와 이송된 컨테이너 수를 보면 무기 및 기타 군수품을 포함해 중요하고 지속적인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연구원 조지프 바이런도 “러시아 선박은 싣고 간 상자들을 나진항에 내려둔 뒤, 북한이 열차로 가져온 컨테이너를 싣고 군사시설로 되돌아가고 있다”고 했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8월 이후 러시아에 100만발 이상의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두 달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북한 무기 전문가 주스트 올리먼스는 “속도로 추정해 봤을 때 11월 이후 포탄 50만 발을 추가로 거래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기를 분석해 봤을 때 북한과 러시아의 거래 무기 중에는 120㎜ 박격포, 122㎜·152㎜ 포탄, 122㎜ 로켓탄 등이 포함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100만 발의 포탄이 추가된다는 것은 러시아가 하루에 약 2700발의 포탄을 더 쏠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우크라이나는 이미 포병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의 지원이 확보되지 않으면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