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양궁대표팀 김제덕(왼쪽부터), 김우진, 이우석이 30일(한국시각) 프랑스 파리 앵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 결승 시상식에서 메달과 손가락을 이용해 대한민국의 101번째 금메달을 표현하고 있다. /뉴스1

2024 파리올림픽의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각 종목에 출전한 선수들이 자신들의 기량을 마음껏 발휘하고 있는 가운데, 메달을 딴 선수들이 받을 포상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0일(현지시각) 미국의 경제 전문 매체 CNBC는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메달 획득에 대해 상금을 지급하지 않지만, 여러 국가에서는 선수들에게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전했다. 이어 각국 올림픽 위원회, 스포츠 협회 및 각종 보고서를 통해 국가별 포상금을 추산한 자료를 공개했다.

CNBC에 따르면, 금메달 포상금을 가장 많이 주는 나라는 76만8000달러(약 10억5800만원)를 지급하는 홍콩이다. 홍콩은 이번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포상금을 지난 도쿄 올림픽 때보다 20% 인상했다.

2위는 싱가포르 74만5000달러(약 10억2650만원), 3위는 인도네시아 30만 달러(약 4억1300만원), 4위는 이스라엘 27만1000달러(약 3억7300만원)다. 이어 카자흐스탄이 25만 달러(약 3억4400만원), 말레이시아 21만6000달러(약 2억9700만원), 스페인 10만2000달러(약 1억4000만원), 프랑스 8만7000달러(약 1억2000만원)로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 4만5000달러(약 6200만원)로 9위에 올랐다. 문체부에서 지급하는 파리올림픽 포상금은 2021년 열린 도쿄올림픽 포상금과 비슷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도쿄올림픽 때는 금메달 6300만 원, 은메달 3500만 원, 동메달 2500만 원을 지급했다.

10위는 3만8000달러(약 5200만원)를 지급하는 미국이다.

이 외에도 일부 선수들은 정부와 민간 기업 등으로부터 아파트, 자동차 등의 포상을 받기도 한다고 CNBC는 전했다. 카자흐스탄은 올림픽 메달을 딴 선수에게 포상금과 함께 아파트를 제공한다. 또 말레이시아는 아파트 또는 자동차를 부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31일 오후 2시 기준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1개로 총 11개 메달을 획득해 종합 5위에 올라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