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 없이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변화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는 국제사회의 인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프랑스, 한국 등 세계적 원전 선도 국가는 물론 개발도상국들도 잇따라 원전 확대를 위한 글로벌 선언에 동참하고 있다.
세계 원자력 협회(WNA)는 17일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리고 있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를 통해 ‘원자력 에너지 세 배 확대 선언’ 참여 국가가 31개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 한국 등 기존 25국에 나이지리아, 엘살바도르, 카자흐스탄, 케냐, 코소보, 터키 등 6국이 추가로 참여했다.
이 선언은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COP28에서 처음 채택됐다. 2020년 기준 약 400GW(기가와트)인 전 세계 원자력발전량을 2050년까지 그 세 배인 1200GW로 늘려 화석연료 사용을 대폭 줄이자는 것이 골자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1.5도로 제한하자는 파리기후협약의 목표 달성을 위해선 원전 확대가 가장 현실적 대안이란 인식을 담았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은 “원자력 에너지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유엔기후총회의 ‘불청객’으로 여겨졌다”며 “하지만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만으로는 기후변화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원전을 대하는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인공지능(AI)과 전기차 산업의 발전,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힘입어 전기 에너지 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보급은 느린 속도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수요 충족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다. 중국의 재생 에너지 산업 독과점, 탄소 배출량 감축에 대한 개발도상국들의 저항도 발목을 잡았다. 결국 대량의 전기 에너지를 비교적 싸게 얻으면서 탄소 배출량도 줄이고, 중국 의존도를 높이지 않는 방법은 원전 확대뿐이란 현실론이 힘을 얻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됐다. NYT와 블룸버그는 “미국은 자국 원자력 기술의 해외 진출, 특히 유럽 지역의 원전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이는 장기적으로 러시아의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여 미국과 동맹과 우방국에 에너지 안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