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커들이 미국 통신회사 최소 8곳을 해킹해 고위 공무원과 정치인들의 통화 기록과 문자메시지 등 통신 기록에 접근했다가 백악관이 밝혔다.
4일(현지 시각) CNN 방송에 따르면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사이버·신흥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이날 미 안보 당국의 중국 해커에 대한 조사 관련 브리핑에서 “현재 그 어떤 통신사 네트워크도 중국 해커로부터 완전 자유롭지 못하다. 지속적인 해킹 위험이 있다”며 “중국 해커의 활동 범위는 미국 통신회사뿐 아니라 전세계 수십개국”이라고 했다. 다만 “중국 해커들이 기밀 정보에 접근하지는 않은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CNN 등 미국 언론은 지난 10월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해커 그룹이 대통령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과 부통령 당선인 JD 밴스 상원의원, 바이든 행정부 고위 인사 등 미국 정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해킹 공작을 벌였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연방수사국(FBI) 등 미 안보 당국은 올해 중순쯤 중국 해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었다.
FBI과 사이버인프라보안국(CISA) 관계자들은 CNN에 “버라이존과 AT&T 등 주요 통신사들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들을 제거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언제 완료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도 “큰 진전을 보이고 있긴 하다”고 했다. FBI에 따르면 중국 해커들의 해킹 내역은 주로 특정인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연락을 했는지를 알 수 있는 전화 기록이었다. 다만 몇몇 소수의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가로챈 사례도 있었다고 했다.
중국 정부는 AP 통신을 통해 해커 지원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펑위 주미중국대사관 대변인은 전날 FBI와 CISA의 해커 근절·사이버 해킹 방지 지침 발표 직후 “미국은 다른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중단하고, 사이버 보안을 핑계로 중국을 비방하는 행위를 그만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