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 시각) 정부효율부 공동 수장으로 지명된 비벡 라마스와미 전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와 국회를 방문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EPA 연합뉴스

다음달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신설될 정부효율부(DOGE) 공동수장으로 지명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미국 의회를 방문해 연방 지출 삭감과 규제 철폐 관련 비공개회의를 열었다. 머스크는 아들 ‘엑스 애시 에이트웰브(X Æ A-12)’를 목마 태워 의회에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미국 매체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머스크는 5일(현지 시각) 정부효율부 공동 수장으로 지명된 비벡 라마스와미 전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와 미국 워싱턴DC의 의회 의사당을 방문했다. 두 사람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를 맡게 될 존 튠 의원 등과 만나 연방 지출 삭감 및 규제 철폐 관련 비공개회의를 열었다. 머스크는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전기차 세액공제 철폐 관련 질의에 “모든 공제를 없애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돈을 잘 써야 한다는 점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했다.

머스크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지급해 온 최대 7500달러의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지난 7월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뒤 “(보조금을 폐지하면) 테슬라도 약간 다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이고 경쟁사에겐 치명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효율부 공동수장으로 낙점된 머스크와 라마스와미는 각각 2조 달러 규모의 연방 지출 삭감과 연방 인력 75% 해고라는 계획을 밝힌 상태다.

정부효율부의 계획은 마냥 핑크빛은 아니다. 의회가 배정한 예산을 인위적으로 삭감하거나 공무원을 해고할 경우 위헌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소속 로 칸나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은 최근 폴리티코와 인터뷰에서 “내 생각에 머스크는 생각보다 빨리 좌절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정부효율부가 외부 자문위원회 수준에 머물면 연방 정부에 대한 구속력이 떨어져 개혁이 어렵게 될 거라는 지적이었다.

그러나 이날 두 사람을 의회로 초대한 것으로 알려진 존슨 하원의장은 “연방 경비원과 유지보수 인력을 제외하면 실제로 사무실에서 일하는 공무원은 약 1%에 불과하다”며 머스크의 개혁안을 전폭 지지했다. 앞서 머스크는 라마스와미와 함께 “연방 공무원 재택근무 폐지”를 월스트리트저널 칼럼을 통해 예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