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MPV)’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일부 병원에서는 환자들이 붐빌 정도로 모이고, 병원 대기실에 앉아 링거를 맞는 모습 등이 공개됐다. 다만 중국 정부는 HMPV가 크게 우려할 만한 감염병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8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중국의 HMPV 확산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특히 14세 이하 어린이 환자 및 중국 북부 지역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중국 현지 매체는 지난달 27일 중국 상하이의 한 병원에 자리가 없어 병실에 들어가지 못한 환자 수십 명이 대기실로 보이는 곳에 앉은 채로 링거를 맞는 모습을 공개했다. 발 디딜 틈 없는 병원 대기실에서 어린 아이와 어르신을 비롯한 수십 명의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다만 중국 내 HMPV 확진자의 정확한 규모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15일 중국의 외래 및 응급 인플루엔자 유사 사례 중 HMPV가 남부에선 3위, 북부에선 2위를 차지했다.
급성호흡기감염증의 일종인 HMPV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 바이러스가 직접 전파되거나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 또는 오염된 물건 접촉으로 간접 전파된다. 감염되면 발열,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할 경우 기관지염,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해열제 등으로 대증 치료를 해야 한다.
이외에도 인도와 미국에서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자 ‘제2의 코로나’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만 중국 당국은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3일 공식 성명에서 “호흡기 감염은 겨울철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도리어 이번 겨울 호흡기 감염자 수는 전년에 비해 규모가 줄어들었고 심각성도 낮아졌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도 아직까지 특이 동향은 관측되지 않았다. 질병청은 8일 “HMPV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바이러스로, 국내에선 2014년부터 제4급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대상으로 지속해서 감시해 온 바이러스의 일종”이라고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최근 독감이 크게 유행하는 상황에서 영유아 중심의 급성 호흡기 감염증인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에 이어 HPMV 감염증도 증가하고 있어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된다”며 외출 전후 손 씻기, 기침예절 실천,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2시간마다 10분 이상 실내 환기 등을 당부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