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가 점령한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파병된 북한군이 포로가 되기보다는 죽음을 택하며 싸운다는 우크라이나군의 증언이 나왔다.
11일(현지 시각)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된 우크라이나군 특수부대원 올레(30)의 주장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올레는 북한군이 대규모 집단을 이뤄 우크라이나군 진지로 진격해 왔다고 설명했다. 적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소규모로 이동하는 러시아군과는 대조된 모습이다.
또 러시아군과는 달리 상공에 드론이 날고 옆에서 동료가 다치거나 숨져도 이를 무시하고 전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북한군은 러시아군과 전혀 다른 접근법으로 작전을 수행하는 것 같다며 “러시아인들은 우리의 진지를 공격한 뒤 손실을 입으면 후퇴하지만 북한군은 계속 전진한다”고 말했다.
올레는 자신의 부대가 러시아군에 상당한 손실을 입혀 러시아가 당초 계획보다 더 빨리 북한군에 의지하게 됐을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북한군이 대규모로 동원된 데 대해서는 “그들(러시아군)은 자국군을 가장 위험한 임무에 파견하지 않고 최전선의 다른 임무를 위해 비축할 수 있다”고 했다.
지난달에는 진지를 공격해온 북한군 400~500명과 교전을 벌였다고도 주장했다. 당시 우크라이나군은 1:6으로 수적 열세였는데, 전투는 8시간 동안 이어졌고 총알이 떨어진 우크라이나군이 퇴각하면서 중단됐다고 올레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북한군 1명을 포로로 잡아 응급처치했지만, 포로로 잡힌 병사는 심문 전 부상으로 숨졌다고 올레는 전했다. 다른 북한군은 포로가 되지 않으려 수류탄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전장에는 사망하거나 부상한 북한군이 그대로 남겨졌다고 올레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