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발리 쿠타 해변에서 서퍼들이 쓰레기가 덮인 모래사장을 지나는 모습./EPA 연합뉴스

세계적 휴양지이자 신혼여행지로 사랑받으며 천국의 섬으로 불리던 인도네시아 발리가 관광객 급증과 함께 쓰레기가 넘쳐나면서 몸살을 앓고 있다.

19일(현지 시각) 자카르타포스트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발리를 찾은 내·외국인 관광객은 총 1496만여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가량 늘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 대유행을 겪으며 관광객이 크게 줄었던 발리는 2023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문제는 관광객이 폭증하자 주요 관광지가 몰려 있는 발리섬 남부는 넘치는 쓰레기로 감당이 어려운 상황이 됐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매년 발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160만t(톤)으로, 이 중 30만t이 플라스틱 쓰레기다. 관광객이 만들어내는 쓰레기 양은 주민이 만드는 쓰레기의 3배가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나온 쓰레기는 상당수가 제대로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는 매년 3만3000t이 수로를 통해 바다로 흘러나가고 있다.

3일(현지 시각) 발리 남부 케동가난 해변에 쓰레기가 밀려온 모습./AFP 연합뉴스

이런 영향으로 이달 초 발리 남부 케동가난 해변에는 거센 파도와 함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밀려 들어와 해변이 쓰레기로 뒤덮이기도 했다. 이에 현지인과 호텔 직원, 관광객 자원봉사자 등 600여 명이 투입돼 해변 청소에 나섰는데, 1주일 동안 이 해변에서 수거된 쓰레기만 25t 수준이었다.

문제가 커지자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2월부터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1인당 15만 루피아(약 1만3000원)의 관광세를 물리고 있다. 하지만 관광세 도입에도 쓰레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이를 올리는 방향도 검토 중이다.

발리 관광청과 관광 단체들 사이에서는 더 많은 호텔이나 숙박 시설이 들어서지 않도록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발리주 정부는 인도네시아 중앙 정부에 2년 동안 주요 관광지에 신규 호텔과 리조트, 나이트클럽, 비치 클럽 등의 건설 허가 중단을 요구한 상황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발리섬 북부 지역에 또 다른 공항을 건설하고, 이곳을 개발해 제2의 싱가포르로 만들겠다며 이를 통해 발리 남부에 몰려 있는 관광객을 북부로 분산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