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행을 밝히자 캐나다도 미국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맞불을 놨다. 미국과 캐나다 사이의 관세 전쟁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유럽 안보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3일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이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 화요일(4일)부터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6조원·1070억 달러) 상당의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일차적으로 4일 300억 캐나다 달러 상당 제품에 부과하고 나머지 1250억 캐나다 달러 제품에 대해서는 21일에 발표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우리의 관세는 미국의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유지될 것이며 만약 관세가 중단되지 않을 경우 여러 비관세 조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캐나다는 트럼프가 지난달 1일 수십 년을 이어온 두 나라 사이의 무역 협력을 뒤집겠다는 의사를 발표한 이후 몇 주 동안 대응책을 부지런히 준비해왔다. 특히 플로리다산 오렌지와 오하이오산 가전제품 등 공화당주(州)를 겨냥한 미국산 제품에 관세 부과를 겨냥하고 있다.
캐나다 내각과 자치정부도 전의(戰意)를 보이고 있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예고 발언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백악관이 유발하는 일정 수준의 예측 불가능성과 혼란이 있고 우리는 그에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졸리 장관은 “우리는 이것이 캐나다인들에 생존 위협임을 알고 있으며 수천 개의 일자리가 위태롭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서 “미국이 무역전쟁을 시작하기로 결정한다면 우리는 준비가 돼 있을 것”이라고 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총리도 “그들이 온타리오를 전멸시키려 한다면 나는 웃는 얼굴로 그들의 에너지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했다. 미 폴리티코는 “온타리오주는 150만명의 미국인에게 전기를 수출하고 있다”고 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 회장인 캔디스 랭은 “미국은 이 정책이 캐나다의 아픈 곳을 때리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곧 디트로이트, 피츠버그, 루이빌과 같은 미국내 도시에서도 재앙적인 영향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 ☞ 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