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통화하는 모습.(자료 사진)/ AFP 연합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안을 협상하기 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8일 전화 통화에서 30일간의 에너지 인프라 등에 대한 상호 공격 중단이 합의됐다. 푸틴이 트럼프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형식이다.

이는 2022년 2월 전쟁 발발 이후 첫 교전 중단 성과로, 향후 평화 협상을 위한 중대한 진전으로 여겨진다. 양측은 추가적 휴전을 위한 전문가 협의를 중동에서 이어가기로도 했다. 그러나 푸틴이 ‘완전한 평화’의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군사 지원 전면 중단을 요구하고,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영토 쿠르스크에서 민간인에게 잔혹 행위를 했다는 주장까지 하면서 향후 협상에 상당한 난관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크렘린궁(러시아 대통령실)은 이날 2시간여에 걸친 양국 정상 간 통화가 끝난 후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 과정에서 ‘분쟁 당사국들이 30일 동안 에너지 인프라 등에 대한 공격을 상호 거부(중단)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며 “푸틴 대통령은 이 제안에 호의적으로 반응했고, 즉시 러시아 군에 상응하는 명령을 내렸다”라고 밝혔다. 다만 언제부터 시행 가능한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가 이를 받아들여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이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양국의 에너지 기반 시설에 대한 공습 중단 및 해상에서의 전투 중단을 골자로 한 휴전안을 제안했고, 미국은 11일 우크라이나와 협상에서 이를 30일간의 전면 휴전안으로 바꿔 다시 제안, 합의를 이뤘다. 이중 에너지 기반 시설에 대한 공습 중단만 러시아가 받아들인 셈이다. 트럼프가 당초 제안한 ’30일간 전면 휴전안’에 대해 푸틴은 휴전 감독 문제, 우크라이나의 재정비 우려 등의 문제를 거론했다고 크렘린궁은 밝혔다.

크렘린궁은 또 “흑해 항행 안전을 위한 기존 협정과 관련해 세부 사항을 추가로 마련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2022년 7월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산 곡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해 체결됐다가 1년여 만에 러시아가 효력 종료를 선언했던 흑해곡물협정을 일부 보완해 다시 체결하자는 의미로 보인다.

크렘린궁은 이어서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논의하기 위한 전문가 그룹을 구성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30일간의 에너지 인프라 공습 중단에 이어, 더 진전된 형태의 휴전안을 논의할 협의 기구를 만들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백악관은 이와 관련 “흑해 해상 및 전면적 휴전에 대한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푸틴은 그러나 통화 과정에서 ‘현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유럽의 군사 지원(정보 지원 포함)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렘린궁은 “분쟁의 확대를 막고 정치·외교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핵심 조건은 외국의 군사 지원과 키예프에 대한 정보 제공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라고 밝혔다.

쿠르스크 문제도 언급됐다. 크렘린궁은 “(푸틴이) 우크라이나의 무장 세력이 쿠르스크 지역의 민간인에 대해 저지른 테러 성격의 야만적 범죄에 대해 지적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 통화에서 “쿠르스크의 우크라이나군이 항복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는 발언도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 정상화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크렘린궁은 “두 정상이 우크라이나와 그 주변 상황에 대해 상세하고 솔직한 의견 교환을 했다”며 “세계의 안보와 안정을 보장하는 러시아와 미국의 특별한 책임을 고려해 양국 관계의 정상화에 대한 공통된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또 “두 정상은 제기된 모든 문제에 대해 계속 연락하기로 합의했다”며 “양국이 협력할 수 있는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에너지 분야 협력이 포함됐다고 크렘린궁은 밝혔다.

푸틴은 이날 트럼프에게 “선의의 표시로 중상을 입은 우크라이나 포로 23명을 우크라이나에 보내겠다”며 “3월 19일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에 각각 175명씩의 포로를 맞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타스 통신은 전했다. 미국이 강조한 이른바 ‘평화 프로세스’에 동참하겠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여기에 북한군 포로가 포함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오후 7시 30분쯤(현지시간) 타스에 “대화가 끝났다”고 전했다. 이날 전화 통화는 오후 5시쯤(미국 동부시간 오전 10시) 시작됐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이번 통화는 지난 2월 12일 약 3년 만의 첫 통화 이후 1달여 만이다.

앞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들은 지난 1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회담을 갖고 30일간의 휴전안에 합의했다. 이에 대해 푸틴은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서 “휴전안 자체는 절대적으로 지지하나 추가적으로 논의해야 할 심각한 문제들이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로 직접 통화해야 할 수도 있다”고 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