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가 27일 “미국과의 기존 관계는 이제 끝났다”며 “미국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며,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캐나다는 총 수출의 75%가 미국으로 향할 만큼 미국 의존도가 높다.
카니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 관세 대응을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는 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며 ”우리의 노동자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한 것이다.
카니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를 각각 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우리는 일주일 후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다음달 2일 트럼프가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예고한 상호 관세 윤곽이 드러나는 대로 캐나다 역시 이에 대응한 보복 관세 방침을 구체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캐나다가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매길 경우 트럼프는 더 높은 세율의 관세를 캐나다산에 매기겠다고 압박한 것에 대해 카니는 “우리는 주권 국가이고 결정은 우리가 한다”며 “그가 하는 발언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고 했다.
카니는 또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래된 관계는 이제 끝났다”며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1월 취임 이후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를 상대로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돼라”는 등 캐나다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압박 공세로 캐나다의 반미(反美) 감정을 고조시켰다는 평가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달 관광 목적 등으로 미국을 방문한 캐나다인 차량수는 작년 동월 대비 24% 감소했다. 캐나다에서는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도 확대되고 있다.
카니는 트럼프의 ‘51번째 주’ 압박 관련 “우리의 주권을 존중해 달라는 것은 우리 입장에선 그리 대단한 요구가 아니지만, 그(트럼프)에겐 큰 문제인 듯하다”라며 “따라서 그러한 존중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카니는 “어젯밤 미국 대통령 측이 통화 일정을 잡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하루나 이틀 안에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