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불교 사원이 지진에 붕괴된 모습. /EPA 연합뉴스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미얀마에 세계 각국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는 군부가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해 국제 사회에서 단절된 상태였지만 인도주의적 지원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이다.

미얀마 군부는 2021년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반대 세력을 유혈 진압했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진 발생 직후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우려는 단체나 국가는 와달라”고 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진 발생 다음날인 29일 웹사이트에 게시한 입장문에서 “미얀마는 중국의 우호적인 이웃 국가로 지진 재해 상황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진심어린 위로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재난 지역에 긴급 인도적 구호 및 지원을 최대한 제공하겠다”고 했다.

중국은 응급 구조팀을 현지에 급파했다. 러시아도 “구조대가 강진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항공기 두 대를 타고 미얀마로 출발했다”고 전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X를 통해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며 EU의 기후변화 감시용 위성을 통해 구조대에 관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도 500만달러(약 73억원) 규모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미얀마에 있는 우리 직원들이 미얀마 국민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고 있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미얀마를 돕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 조직 축소에 나선 트럼프 행정부가 대외 원조를 담당하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도 사실상 해체 수준으로 감축한 만큼 적절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얀마 지진에 대한 질문을 받고 “끔찍한 일이 일어났다”면서 “우리는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도 취재진에게 “지진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해 지원을 요청하고 현지 보고서를 활용하겠다”고 했다. 그는 “USAID는 재난이 발생하면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 팀을 유지해 왔다”면서 “(인력·예산의) 감축에도 불구하고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재난 대응과 인도주의 활동을 담당했던 전직 USAID 고위 관리 새라 찰스는 “현재 시스템은 엉망진창”이라면서 “붕괴된 건물에서 생존자를 구조할 인력이나 자원이 부족하다”고 AP에 말했다. 그는 USAID가 민간 구조대와 맺은 계약은 유지되고 있지만, 구조 인력과 구조견, 중장비를 재난 지역에 투입하기 위한 특수 운송 계약은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