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미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이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관세 협상을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대한 상호 관세를 줄일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7일 미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네타냐후와 정상회담을 갖고 관세 및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 단체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 문제를 논의했다. 지난 2일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외국 정상이 백악관에서 트럼프와 관세 협상을 한 것은 이날 네타냐후가 처음이다. 앞서 트럼프는 이날 오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관세 관련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네타냐후는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은 미국과의 무역 적자를 없앨 것”이라며 “우리는 그것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계획이다. 또한 불필요하게 설정된 다양한 무역 장벽들을 없앨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은 많은 국가들이 같은 일을 하도록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나는 미국의 입장을 이해한다. 나는 자유무역의 옹호자이며, 자유무역은 공정한 무역이어야 하고, 그게 바로 당신(트럼프)이 제시한 입장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트럼프는 지난 2일 이스라엘에 17%의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반면 미국이 적국으로 상정한 이란에는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에서는 “적국인 이란에는 10%, 동맹인 이스라엘에는 17%의 관세 부과가 말이 되느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날 네타냐후는 미국과의 무역 적자를 없애겠다고 선제적으로 트럼프가 원하는 조치를 언급한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이어 기자들이 “이스라엘에 대한 17%의 관세를 줄일 계획이냐”는 질문에 확답을 내놓지 않았다. 트럼프는 “글쎄, 우리는 전혀 새로운 무역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아마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했다. 트럼프는 이스라엘 관세를 줄이겠다는 대답 대신 “미국이 이스라엘을 많이 돕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마라”며 “우리는 이스라엘에 매년 40억달러를 준다. 그건 정말 많은 금액”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