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중국에 ‘104% 추가 관세’라는 기록적인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대(對)미국 추가 관세율 84%를 물리며 반격했다. 미국이 중국을 ‘관세 폭탄’으로 공격하면 중국이 즉각적으로 맞대응하면서 세계 경제가 시계 제로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9일, 관세법·대외무역법 등에 근거해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기존 34%(4일 발표)에서 84%로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지난 2월과 3월 펜타닐 유통을 문제 삼아 총 20% 관세를 중국에 추가했고, 2일에는 중국에 상호 관세 34%를 책정해 추가 관세율을 54%로 올렸다. 이후 중국이 미국에 34%의 보복관세를 결정하자 미국이 또다시 50%포인트를 추가하면서 중국에 도합 104%라는 관세 폭탄을 날렸다. 이에 중국이 미국에 84%의 추가 관세를 물리는 조치로 응수한 것이다.
중국 상무부는 같은 날 미국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인공지능(AI)·항공우주·드론 등 첨단 기술 관련 미국 기업 12곳을 ‘수출 통제 관리 명단’에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에 따라 이들 기업에 이중용도(민·군 겸용) 물자를 수출할 수 없게 된다. 상무부는 이와 별개로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드론·바이오 등 분야의 미국 기업 6곳을 올리고, 이들 기업의 중국 관련 수출입 활동과 중국 내 신규 투자를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내렸다.
미국의 ’50% 추가 관세’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했다. 중국은 이날 WTO에 보낸 성명서에서 “상황이 위험할 정도로 격화하고 있다”며 “이번 조치로 영향을 받은 WTO 회원국 중 하나로서 중국은 미국의 무모한 조치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확고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보복 조치에 대해 “미국이 즉각 잘못된 조치를 시정하고, 중국에 대한 모든 일방적인 관세 조치를 철회하라”면서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평등한 대화를 통해 양국 간의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해 나가자”고 했다.
미국과 중국이 정상회담 직전까지 양보 없는 강대강 대치 전선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국에 거주 중인 중국 정치 논평가 웡뤼중은 8일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미국과 중국은 말싸움을 넘어 경제 열전(economic hot war) 단계에 이르렀다”면서 “트럼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자신의 체면을 뭉갰다고 느꼈으며, 백악관 내 강경파는 초강경 맞대응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도 미·중 관세 전쟁은 단순한 경제 분쟁이 아니라 중국공산당의 권위를 수호하는 싸움이란 점에서 항전(抗戰)을 택할 수밖에 없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8일 “미국이 관세로 초래되는 인플레이션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불만을 감당할 수 없을 때를 중국이 기다리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기존 중국 수입품 품목에는 원자재와 중간재뿐 아니라 의류·가정용품·장난감 등 소비재가 다수 포함돼 이번 104% 관세 부과로 향후 미국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중국 지도부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급등하거나 고용이 감소하는 등 미국 경제가 상호 관세의 역풍을 맞아 트럼프가 궁지에 몰리기를 기다려 그와 대화하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중국 국영 CCTV 산하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8일 “우리는 당연히 협상의 문을 닫지 않았다”면서도 “글로벌 최대 무역국인 중국은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고, 물러서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반도체·전기차·고속철도·로봇·조선·신에너지·바이오·항공·우주·농업기계 등 미국이 중국에 타격을 가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우리는 이미 앞서 있거나 전력 돌파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