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기존 34%에서 84%로 10일부터 올린다고 9일 발표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중국에 50% 추가 관세를 더해 추가 관세를 최고 104%까지 끌어올리자 같은 조치로 보복하며 미국을 공격한 셈이다.
미국이 중국을 ‘관세 폭탄’으로 공격하면 중국이 기다리지 않고 즉시 똑같은 강도로 맞받아치는 방식으로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2차 대전 이후 자유무역을 발판으로 성장해 온 세계, 그리고 한국 경제에 위기가 닥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진다.
트럼프는 지난 2월부터 펜타닐(마약성 진통제) 유통을 문제 삼아 20% 관세를 기존 중국 관세에 추가한 상태였는데, 상호 관세에 이어 중국의 보복에 따른 추가 관세까지 잇따라 부과되며 중국은 총 104%라는 ‘관세 폭탄’을 맞게 됐다. 이런 ‘강수’에 중국이 미국과 협상에 나서리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중국은 오히려 50% 대미 추가 관세로 대응했다.
중국은 미국이 지난 2일 기존 관세에 더한 ’상호 관세 34%‘를 발표하자 즉시 미국 수입품에 대한 34%의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이에 미국이 재보복 차원에서 8일 ‘50%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했고, 중국은 즉각 같은 규모(추가 관세 50%)의 보복 관세로 반격하며 물러설 뜻이 없음을 확실히 했다.
트럼프는 앞서 8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중국은 간절히 협상을 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작할 방법을 모른다”며 “우리는 그들의 전화를 기다린다. 곧 전화가 올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이 기다리던 ‘전화’ 대신 강력한 보복으로 응수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9일 “주변국 운명 공동체 구축에 집중하라”고 연설하며 미국을 배제한 자국 중심의 무역 질서 수립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유럽도 반격에 나섰다. 트럼프는 지난 2일 유럽연합(EU)에 20% 보복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는데, EU는 9일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로 25%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