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개시하고, 우방국까지 적대시하는 발언을 이어가면서 세계 곳곳에서 ‘미국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145%라는 관세 폭탄을 맞은 중국에선 ‘반미(反美) 애국 소비’가 개인에서 기업으로 확산되고, 유럽에선 ‘파시즘’을 연상케 하는 트럼프의 독주에 반대하며 미국 제품·여행 거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취임 전부터 ‘안티 트럼프’ 분위기가 확산돼 있던 캐나다에선 “아무리 싸도 미국산은 안 산다”는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졌다.
1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의 대형 항공사인 지샹항공은 미국 보잉에 주문했던 항공기의 인수를 무기한 연기했다. 지샹항공은 1억2000만달러(약 1700억원)에 달하는 보잉 787-9 드림라이너 한 대를 3주 안에 인수할 계획이었다.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중의 관세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높아진 관세 부담과 중국 내 반미 분위기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가 올해 중국에 부과한 누적 추가 관세율은 145%, 이에 맞서 중국이 미국에 부과한 보복관세율은 125%에 달한다.
중국 곳곳에선 미국인을 배척하는 가게들이 늘고 있다. 10일 산시성의 보석 판매점과 우한의 식당 등은 ‘미국인 손님에게 봉사료를 104%(미국이 대중국 관세율을 145%로 올리기 직전의 관세율) 더 받겠다’는 문구를 적은 플래카드를 걸었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더우인에선 ‘미국 불매 리스트’가 빠르게 돌고 있다. 여기엔 코카콜라, 아이폰, 테슬라, 피자헛, 맥도널드, 스타벅스, 나이키 등 미국 브랜드들과 이를 대체할 중국 제품이 적혀 있다.
중국 인플루언서들은 영상을 올려 ‘궈차오(國潮·애국 소비) 선언’을 이어가고 있다. 팔로어 2만명의 여성 인플루언서 후리파이는 “내 아이폰을 화웨이 것으로 교체하겠다”고 했고, 팔로어 7000명인 ‘링링보석1점’이란 계정은 “이제 나이키 대신 리닝(중국 스포츠 브랜드)을 입겠다”고 했다. 중국 남방 지역의 한 신발 제조 업자는 “앞으로 미국 사업 파트너들과 거래하지 않겠다”면서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건 애국”이라고 했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미중 대등 관세전(戰)’이라고 적힌 컵도 판매 중이다.
중국 정부는 내수 진작을 위해 미국 불매운동을 뒤에서 독려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자 올해 중국의 GDP(국내총생산)가 최대 2.2%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골드만삭스)이 나오는 상황에서, 통화정책 등 부양책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9~10일 미국 여행·유학 자제령을 내리고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 방침을 발표했다.
유럽에선 트럼프뿐 아니라 유럽 극우 정당을 지지하며 유럽 정치에 개입해온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반감이 강하다.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덴마크·스웨덴 등에선 소셜미디어에 ‘미국 제품 불매’ 모임이 생기면서 수십만 명의 회원이 모였다. 프랑스에선 맥도널드 대신 프랑스 브랜드인 ‘퀵 버거’를, 코카콜라 대신 브르타뉴산 브레즈(Breizh) 콜라를 마시자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달 독일 소비자 조사에선 53%가 ‘미국산 제품을 더 이상 사지 않겠다’는 응답이 나오기도 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건 테슬라 전기차다. 전년 대비 테슬라 차량의 신차 등록 수(2월 기준)는 독일 76%, 덴마크 48%, 프랑스 26% 감소했다. 올해 첫 두 달간 유럽 전체 누적 판매량은 지난해 대비 반 토막 났다. 유럽 전체 전기차 시장이 약 30% 성장했지만, 테슬라만 역성장했다.
유럽인들은 미국 여행도 자제하는 분위기다. 미 국제무역청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에서 1박 이상 체류한 서유럽 관광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 줄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캐나다에선 트럼프 취임 이전부터 지속돼온 ‘안티 트럼프’ 분위기에 관세전쟁까지 더해지며 불매운동이 더 강렬해지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 전부터 캐나다를 향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는 것이 어떠냐” “트뤼도(캐나다 전 총리)는 미국의 51번째 주지사”라고 놀렸고, 캐나다에 25%의 관세 부과와 유예를 반복해왔다.
캐나다 앵거스리드연구소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발(發) 관세 위협 이후 캐나다인 98%가 수퍼마켓 등에서 자국산 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있다. 캐나다 수퍼마켓 체인 ‘로블로스’는 “캐나다산 제품의 주간 판매량이 최근 두 자릿수 이상 늘었다”고 영국 BBC에 밝혔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사는 영어 교사 무함마드씨는 본지에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개시한 후 나를 포함한 캐나다인들은 미국산이 더 저렴하더라도 이를 사지 않고, 캐나다산 제품을 미국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사서 쓰고 있다”며 “예를 들어 더 맛있고 싼 미국산 딸기 대신 비싼 캐나다산 딸기를 사 먹고, 반값에 파는 (미국산) ‘하인즈 케첩’ 대신 캐나다 브랜드 ‘프렌치 케첩’을 구매한다”고 했다.
피에르 폴리에브 캐나다 보수당 대표는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맞서) 국가를 단결해야 한다. 모든 캐나다인이 같은 정신으로 뭉쳐야만 한다”며 전 국민 차원의 미국산 불매운동을 독려했다.
캐나다에는 제품 바코드를 촬영하면 미국산인지 알려주는 앱도 등장했다. ‘메이플 스캔’이란 이름의 이 앱은 최근 출시 한 달여 만에 10만건 다운로드됐다. 식료품뿐 아닌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애플 TV 등 미국산 OTT(동영상 제공 서비스)도 불매운동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블로그TO 등 캐나다 현지 매체들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