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미국은 9일부터 세계 각국을 상대로 발효한 상호관세를 즉시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기로 했다. 보복 대응에 나선 중국에 대해서는 상호관세율을 125%로 즉각 인상한다고 밝혔다./뉴스1

미 백악관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명시했다. 이는 기존에 발표한 대중 관세율 145%보다 대폭 상향된 수준이다.

15일 미 뉴스위크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를 통해 “중국은 보복 행동의 결과, 이제 최대 245%의 미국 수입품(중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에 직면했다”고 했다. 백악관은 지난 1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매긴 합계 관세율이 총 145%라고 밝혔다. 지난 2월 중국산 수입품에 10% 보편관세를 추가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3월 10% 관세율을 더했고, 이후 ‘상호 관세’ 125%를 추가했다. 그러나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자료에는 이보다 100% 높은 수치를 명시하면서도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백악관은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2일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새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높은 관세는 중단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중국 언론은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특정 중국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최고 245%에 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일례로 중국의 대미 수출품 가운데 주사기의 관세율이 245%로 가장 높았는데, 기존 관세 100%에 추가로 145%가 더해져 245%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번 관세 전쟁은 미국이 주도한 것이며, 중국은 자국의 정당한 권익과 국제적 공정성과 정의를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했다“고 했다. 이어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며 “중국은 싸우고 싶지 않지만, 싸우는 것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고 했다.

현재 중국은 미국의 고율 관세에 맞서 비슷한 수준의 보복 관세로 대응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11일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높이는 조정안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발표문에서 “미국이 중국에 지나치게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국제 경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며, 기본적인 경제 규칙과 상식에도 어긋나는 것으로, 완전히 일방적인 괴롭힘과 강압적 행동”이라고 했다. 또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높게 인상하더라도 이로 인한 경제적인 의미는 없다”면서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고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불공정한 무역 수지와 비관세 장벽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는 나라는 없으며 특히 중국이 그렇다”고 했다. 이어 “미국은 중국과 같은 적대적 무역국의 인질이 돼서는 안 된다”며 “그들이 수십년간 우리에게 불이익을 준 것을 내버려둘 수 없다. 그런 시대는 끝났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