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총괄하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16일 일본과의 관세 논의에 나선다. 일본에서도 대표적 지일파(知日派)로 꼽히는 베선트에 대해 일본 현지에선 “일본의 약점까지 숙지하고 있다”며 경계하는 반응이 나온다.

1962년생으로 예일대 정치학과를 졸업한 베선트는 한때 일본어를 배웠다고 알려졌다. 미국 투자 업계에서 경력을 쌓은 그는 2013년 엔화 약세를 예상한 투자로 큰 수익을 올렸다.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경제 정책)를 분석하는 등 일본 경제를 속속들이 연구했고, 트럼프 2기 출범 전 일본 도쿄에서 아베의 측근들과 만났다는 얘기도 있다. 그만큼 일본의 ‘카드’를 잘 파악하고 있다는 뜻이다.

재무장관으로 임명되고 나서는 2028년까지 경제성장률을 3%로 끌어올리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를 3% 아래로 낮추고, 미국의 에너지 생산을 하루 300만 배럴 늘린다는 내용을 담은 ‘3-3-3′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일본 아베 정부의 정책 목표였던 ‘3개의 화살(양적 완화·재정 확대·성장 전략)’과 닮았다는 평가다.

미군이 주둔 중인 일본에서 베선트가 ‘안보’를 협상 카드로 삼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베선트가 ‘공동 경제, 공동 방위’를 조건으로 동맹국 여부를 결정한다면서 “이번 협상에서 미국이 관세 인하 조건으로 안보 부담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닛케이는 이번 미·일 협상이 표면적으로는 관세 논의이지만 2차 대전 이후 미국이 전 세계 경제·안보를 지탱해온 시스템을 재편하려는 ‘베선트 구상’의 가동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자국 시장을 개방해 자유 진영의 무역 발전을 촉진하고, 이를 강력한 기축통화인 달러와 군사력으로 지지해왔다. 하지만 베선트는 미국이 그 대가로 막대한 적자를 감수했다고 보고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실제 베선트는 재무장관 지명 전 모교 예일대 강연에서 “종전 국제 질서의 재편에 관여하고 싶다”고 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