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 시간) 워싱턴 DC의 백악관에서 일본 측 관세 협상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의 예방을 받고 면담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미·일 관세 본협상을 시작했다.

17일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일본 무역 대표단과 막 만나서 큰 영광이다. 큰 진전이다”라고 썼다. 일본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속보로 전했다. 방송국 TV아사히는 “16일 아침,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자신도 (협상에) 참가한다는 글을 투고했고, 관세나 무역에 더해 주일 미군의 주둔 경비에 대해서도 논의할 생각임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을 만나기 전에도 소셜미디어에 “일본이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무역의 공정성에 대해 교섭하기 위해 오고 있다. 나도 함께할 것”이라고 썼다. 갑작스런 트럼프의 협상 참여 글에 놀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16일 늦은 밤, 도쿄의 총리 공저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외무성 간부 등과 협의했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 시간 17일 새벽,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나의 특사인 아카자와 대신을 만나주셔서 감사하다. 실질적인 회담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영어와 일본어로 게시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은 다른 나라에 앞서 교섭을 시작해 다른 나라보다 유리하게 교섭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또한 아카자와는 첫 회담에선 미국 측의 요구를 듣고 이후 대응한다는 전략이었는데, 트럼프가 교섭에 직접 나섬에 따라 이러한 이점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가 협상장에 직접 나와 자신이 원하는 방위비 분담금 인상 등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일부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나서면 관세 협상이 의외로 조기 타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2일 트럼프는 무역 적자가 큰 세계 57국 대상으로 하는 상호 관세를 발표했고,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추가로 24%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는 당초 9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이었지만 이날 부과를 일단 90일간 유예했다. 트럼프는 한국에 대해 25% 상호 관세를 예고했고, 한국 정부도 조만간 이를 낮추기 위한 협상을 미국과 진행할 예정이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