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24%를 부과하는데 대해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3일 “지극히 유감스럽다”며 “이번 조치를 재검토할 것을 강하게 (미국 측에)요청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복관세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인 검토 상황을 밝히는 건, 삼가하겠다”고 했다. 일본 내각 서열 2위인 하야시 관방장관은 “WTO 협정 및 일·미 무역협정과 (이번 조치와의) 정합성에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며 “미·일의 경제 관계, 세계 경제와 다각적인 무역체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일본 전문가와 언론들은 “일본이 동맹국인 미국과 보복 관세로 대립하기보단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비관세 장벽을 일부 없앨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정면충돌보다는 ‘일본 예외’라는 실리를 챙기겠다는 접근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외무성, 경제산업성, 재무성 등 관련 부처의 고위 관료와 만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은 이날 “상호 관세 발표 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온라인 회담해 일본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끈질기게 필요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의 USTR은 쌀·밀·돼지고기 등 농산물의 수입 제한을 일본의 대표적 비관세 장벽으로 지적하고 있다. 공산품의 경우엔 일본의 독자 규격 탓에 사실상 미국 제품의 진입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예컨대 일본의 자동차 안전 기준, 전기차 충전소 규제는 자국산 자동차 비율을 94%로 지키는 수단이라는 식이다. 일본의 한 신문은 “미·일은 수면 밑에서 비관세 장벽에 대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여론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결국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황금시대 시작’을 선언한뒤 2달 동안 나스닥종합지수는 12%나 하락한 반면, 관세 대립한 캐나다·멕시코가 각각 1% 하락과 5% 상승이었다”며 “최근 한주간 미국 주식을 운영하는 펀드에서 무려 3조엔이 빠져나갔는데, 글로벌 투자자들이 트럼프의 미국 주식을 비관적으로 보는 것”이라고 했다. 일본 국영방송 NHK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관세 장벽 등을 거론하며 일본의 관세를 46%라는 말한 건 예상 밖”이라며 “세계 각국에서 ‘탈미국’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