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뉴델리 길거리에서 케밥을 판매하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로이터 뉴스1

인도 일부 지역이 음식물에 이물질을 넣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처벌하는 법령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음식물에 침, 소변 등을 넣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주 정부 차원에서 칼을 빼든 것이다.

29일 영국 BBC에 따르면,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州)는 음식물에 침, 소변, 흙 등 이물질을 넣을 경우 최대 10만 루피(약 164만원)의 벌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인근 우타르프라데시주는 음식에 침을 뱉는 등 오염시키는 행위가 적발될 경우 최대 징역 10년형을 선고하는 조례를 추진하고 있다. 이 지역은 식당 운영자의 신상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지침을 함께 발표하기도 했다.

주 정부가 이런 법안을 검토하는 것은 노점 상인들이 음식에 침을 뱉는 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퍼지면서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인도의 한 가사도우미가 고용주들이 먹는 음식에 소변을 몰래 넣는 장면이 포착돼 논란이 된 바 있다.

인도의 길거리 음식점에서 한 남성이 로띠에 침을 뱉는 모습이 포착됐다. /X(옛 트위터)

식품 안전 문제는 인도 내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인도 식품표준안전청(FSSAI)에 따르면 인도에선 안전을 준수하지 않은 식품으로 인해 매년 6억건의 감염자와 40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다만 이런 법안이 인도에서도 소수인 무슬림을 비방하는 데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음식에 침 뱉는 영상이 퍼질 때마다 일부 힌두민족주의 계정에선 “무슬림이 힌두교도들의 음식에 침을 뱉어 오염시킨다”는 식의 글을 함께 올리고 있다. 가사도우미 소변 사건의 경우에도 이 여성이 무슬림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확산해 무슬림이 공격받은 바 있다. 경찰 조사 결과 문제를 일으킨 가사도우미는 힌두교도로 드러났다.

현지 매체 인디언익스프레스 이번 법령 추진에 대해 “이미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 소수자들을 표적으로 삼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