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HAP PHOTO-0201> FILE - In this Sept. 2017 file photo, a flag is waved during an immigration rally outside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The Trump administration says it'll allow migrants from six countries to extend their legal U.S. residency under a temporary status for nine months while courts consider its effort to end the program. President Donald Trump has long sought to terminate the program, which allows migrants from countries devastated by war or natural disaster to legally live in the U.S. President-elect Joe Biden has promised “an immediate review" of it and said he’ll pursue legislation for longtime residents to remain and seek U.S. citizenship.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nounced the extension Wednesday. (AP Photo/Carolyn Kaster)/2020-12-10 00:57:33/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경력을 쌓는 기회를 주는 대신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방식으로 운영됐던 백악관 인턴에게 급여를 지급해 달라는 요청이 제기됐다. 10일(현지 시각) 미국 경제전문지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전직 백악관 인턴 출신 인사 200여명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에게 백악관 인턴에 대해 유급으로 전환해 달라는 요청을 했다.
전통적으로 백악관은 인턴십을 무급으로 운영했다. 하지만 워싱턴 DC의 비싼 물가를 자비로 부담하면서 인턴십을 할 수 있는 형편이 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다인종 국가인 미국에서는 이런 제약은 유색인종과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적 사다리를 걷어차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취지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급여 없이 일할 수 있는 형편이 되지 않는 사람은 (백악관에서 일해보는) 명망 있는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꼬집었다.
이들 200명의 전직 인턴은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등 5개 행정부 출신이다. 앞서 인턴을 무급으로 운영해왔던 미 연방하원은 오늘날은 인턴 급여로 3100만 달러(약 337억원)를 책정해 유급으로 운영하고 있다.
팀 라이언(민주ㆍ오하이오) 연방 하원의원은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보낸 성명서에서 “앞으로 백악관도 하원의 전례를 따라 (인턴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인턴 유급화 운동은 시민단체 ‘인턴에게 돈을 주자’가 주도하고 있다. 이 단체의 총괄국장인 카를로스 마크 비라는 비즈니스인사이더와의 인터뷰에서 “백악관 인턴은 평균적인 인턴십이 아니다. 그것은 미국에서 가장 명망있는 것”이라면서 더 많은 사람이 백악관 인턴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급화해야 한다는 취지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