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에서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길들이려는 압박이 전방위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SNS가 중요한 정치적 의사소통 기구이자 대중 소통 채널이 되면서 이를 자신의 입맛에 맞게 통제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지는 것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각) 인도 경찰은 인도 내에 있는 트위터 사무실 2곳을 방문해 수사 착수 소식을 통보했다. 트위터가 수사를 받게 된 건 인도 여당과 야당의 정치 싸움에 개입됐기 때문이다.
인도 여당 인도국민당은 지난주 트위터에 인도 정부의 코로나 대응을 비판하는 문서와 함께 야당인 인도국민회의가 이 문서를 작성했다고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 야당이 여당을 공격하기 위한 정치 공세를 펼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야당인 인도국민회의 측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트위터에 항의했고, 트위터는 의혹을 처음 제기한 여당의 글에 ‘조작된 글’이라는 꼬리표를 붙였다. 이에 인도국민당은 반발했고, 트위터는 경찰 수사를 받게 됐다.
IT 업계에서는 이를 정치적 입맛에 맞게 트위터를 길들이려는 시도로 본다. 로이터는 “인도 모디 총리 행정부는 트위터에 정부 비판 게시물을 삭제해달라고 여러 차례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검색 엔진 업체인 구글도 압박받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이날 구글에 불법 약물 광고나 폭력 관련 부적절 콘텐츠 2만6000여개를 24시간 내에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최대 연 수입의 10%를 벌금으로 걷고, 서비스 속도를 낮추겠다고 압박했다. 표면적으론 약물이나 폭력 콘텐츠를 삭제하라는 것이지만, 러시아가 삭제 지시를 한 콘텐츠엔 반정부 관련 내용이 많이 포함돼 있다.
미 공화당 소속인 론 디샌티스 미국 플로리다 주지사는 이날 SNS 기업들이 정치인의 계정을 마음대로 정지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미 국회의사당 습격 사건이 발생한 후, 이를 선동한 트럼프의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이 정지당하자 비슷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법을 만든 것이다.
이 법안에 따르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주지사 이상의 직책을 맡는 정치인의 계정을 14일까지만 정지할 수 있다. 그 이후엔 하루에 25만달러(약 2억8000만원)씩 벌금을 내야 한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이 법안에 대해 “공화당 등 보수주의자들의 SNS 기업에 대한 보복”이라고 해석했다.
이처럼 각국이 SNS 기업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이유는 SNS의 힘이 커졌기 때문이다. SNS에는 정부와 다른 목소리가 넘쳐 나고, 이러한 목소리가 응집해 반정부 운동 등으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각국 정부가 자기들의 입맛에 맞게 SNS 기업을 통제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이다. 로이터는 러시아 정부가 구글에 콘텐츠 삭제 지시를 한 것에 대해 “모스크바가 서구의 IT 기업을 통제하고 인터넷 주권을 강화하려는 압력”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