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가 거센 저항에 직면한 러시아가 중국에 군사 장비 및 경제 원조를 요청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 뉴욕타임스(NYT) 등이 1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 정부 당국은 이를 인지하고 “중국이 러시아를 도울 경우 후과가 있을 것”이라며 잇따라 경고에 나섰다.
WP는 이날 익명을 요구한 당국자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다만 이 당국자는 러시아 정부가 중국 측에 어떤 종류의 무기를 요구했는지, 중국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NYT는 이에 대해 “미 당국은 러시아에 대한 정보 취득 방법을 비밀로 하기 위해 어떤 군사 장비를 요청했는지는 밝히지 않기로 했다”고 했다.
NYT는 또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국가들의 광범위한 제재로 인한 자국 경제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에 추가적인 경제 지원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이탈리아 로마에서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과 만나기 하루 전날 나왔다. 바이든 미 행정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화되기 이전부터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향후 행보를 파악해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노출 시키는 전략을 써왔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가 제재를 회피하는 것을 중국이 도울 경우 반드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베이징에 직접 비공개로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CNN, CBS 방송 등에 잇따라 출연해 “우리는 중국이 러시아에 어떤 형태의 물질적, 경제적 지원을 실제로 하는 범위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이는 우리의 우려 사항”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어떤 나라가 경제 제재로 인한 러시아의 손실에 대해 벌충해 주는 것을 좌시하거나 지켜보지 않겠다는 점을 중국에 전달했다”며 “제재 회피를 도울 경우 분명히 대가가 있을 것임을 중국에 직접, 비공개로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WP는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러시아의 제재 회피를 돕기 위한 중국의 경제 원조에 대해 주로 이야기 했지만, 미 당국자들은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러시아의 무기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함락하기 위해 도심 24km 앞까지 진격하는 등 총공세를 펼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군은 매복 공격으로 러시아군 전차를 퇴각시키는 등 강력히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