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일 양국과 협력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견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핵 보유국’ 발언 등으로 미국의 북한 비핵화 의지가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이 있었지만 백악관이 연일 완전한 북 비핵화 입장을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7일 트럼프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가진 언론 브리핑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1기 행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양측이 협력해야 하는 사안이므로 성급하게 예측하지 않겠다”면서 “다만 우리는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파트너들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면서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한일 양국과 협력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체제에서 공고화 된 한미일 3국 협력 관련해서도 “트럼프 행정부는 (한미일) 3자 협력과 그에 따라 형성된 실무 그룹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협력의 초점이 다소 조정될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연속성이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모두 뒤집고 있는 트럼프가 한미일 협력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이를 일축한 것이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국가들을 같은 전선으로 묶는 전략은 당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처음 나온 것으로, 이후 바이든 행정부에서 확장 발전됐다는 해석이 중론이다.

이 관계자는 또 트럼프 행정부 1기 동안 세 차례의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렸다는 점을 언급하며, 트럼프가 한일 양국과의 3자 협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