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12일부터 한국 등 관세를 면제받아온 국가에도 예외 없이 부과하기로 한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해 “조정 없이 다음 주에 발효한다”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한 25% 관세 중 상당 부분을 한 달 유예하라고 지시했는데,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변경할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큰 건은 4월 2일에 하는 상호관세”라며 “대부분 관세는 4월 2일에 시작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철강·알루미늄 관세도 조정하느냐’는 질문에 “조정하지 않는다” “다음 주에 발효한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는 12일부터 어떤 예외도 허용하지 않고 모든 국가의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때 대미(對美) 철강 수출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받아들인 대신 25% 관세를 면제받은 한국 철강 기업들도 영향을 받게 된다. 다만 쿼터는 폐지된다.

트럼프는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유예에도 증시가 급락한 것 관련 “그들 다수는 글로벌리스트 나라와 기업들로 수년 전 우리한테서 빼앗아 간 것을 우리가 되찾고 있기 때문에 이전처럼 잘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했다. 또 시장 반응을 의식해 관세를 유예했냐는 질문에는 “시장과 관련이 없다” “나는 시장을 보지도 않는다”고 했다. 다만 이런 발언과 달리 트럼프는 국정 운영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증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트럼프는 이날도 전임 조 바이든 정부 때 반도체 투자 유치를 위해 제정한 반도체지원법을 비판했다. 그는 “반도체법은 돈 말고는 가진 게 없는 사람들에게 수십억 달러를 준다”며 “그들은 그 돈을 쓰지 않고 그냥 가져갈 것”이라고 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이 법의 수혜 기업이다. 트럼프는 프랑스 해운사 CMA CGM이 미국에 200억 달러를 투자하는 계획을 소개하며 “해운 인프라를 강화하고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할 것”이라고 했다. 또 미국의 선박 건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 주) 매우 큰 선박을 건조하는 새로운 대규모 프로그램을 발표할 것”이라며 여기에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포함된다고 밝혔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