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DC의 초당적 외교·안보 분야 싱크탱크인 ‘우드로 윌슨 센터’에서 거의 모든 직원이 휴직 상태에 들어가는 등 잠정적인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이는 지난달 14일 윌슨 센터를 콕 집어 기능·인력 최소화를 지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른 조치다. 이 센터에는 지난 2015년 현대차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총 300만 달러(약 43억8500만원)를 출연해 ‘한국 역사 및 공공정책 연구센터’를 세웠는데, 당분간 한국 연구도 어렵게 됐다.
윌슨 센터 측은 4일 “인도·태평양 프로그램은 1977년 이래 외교 정책 커뮤니티를 위해 노력했고, 2015년에는 현대차·KF 동료들이 합류했다”며 “우리 프로그램은 수년 동안 수백 명 펠로우들의 보금자리가 됐을 뿐 아니라 인·태 지역에 대한 수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서적과 분석 보고서를 제작해 발간했다”고 했다. 이어 “아시다시피 윌슨 센터는 최소 기능으로 축소돼 우리는 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인·태 지역이 직면한 중요한 현안들에 대해 공동체와 함께 일하는 것을 즐겼다. 성원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1968년 설립된 윌슨 센터는 유엔(UN) 탄생에 산파 역할을 한 우드로 윌슨 대통령(1856~1924)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것으로, 운영 자금의 30%를 의회에서 지원받고 나머지는 민간 기부금으로 조달한다. 워싱턴 DC의 외교·안보 커뮤니티에서는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에 비견될 정도로 방대한 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를 갖고 있는 게 이 싱크탱크가 갖고 있는 강점이었다. 브루킹스연구소,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등과 더불어 한국·한반도 전담 연구 인력이 있는 워싱턴 DC의 몇 안되는 싱크탱크인데 수미 테리 외교협회(CFR) 연구원, 이성윤 터프츠대 교수 등이 과거 이 자리를 거쳐 갔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재 약 130명의 직원이 유급 휴직에 들어갔고 이메일 계정에 대한 접근도 차단됐다”며 “향후 대표 1명, 연방 직원 2명, 펠로우 2명 등 5명의 직원만 남게 된다”고 했다. 그동안 센터에 답지했던 기부금도 처리 여부가 확실치는 않지만 개인·기관에 반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