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8일 브리핑룸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로 부과한 상호 관세가 9일 0시 1분부터 발효될 예정인 가운데, 백악관은 8일 “트럼프가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할 것을 지시했다”며 “트럼프는 전화를 받고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나서서 한국·일본을 콕 집어 언급하며 “우리는 전 세계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맞보복에 나선 중국에는 100%가 넘는 상호 관세 부과를 확인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오후 70국 이상이 협상을 위해 미국에 접촉한 사실을 확인하며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터무니없는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라며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이날 상원 재무위원회에 출석해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무역적자 감축 목표를 진전시킬 수 있는 대안이 있다면 우린 거기에 열려있다”고 했다.

레빗은 그러면서도 “우리는 전 세계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상호 관세 부과 초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 같은 강경파들이 나서서 “협상은 없다” “우방이 적국(敵國)보다 우리를 더 부당하게 대우했다”고 못 박았던 것과는 달라진 기류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제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오전 폭스뉴스에 출연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며 “이들은 미국 노동자, 농민을 위해 정말 긍정적이었다. 테이블에 정말 많은 양보가 있었다”고 했다. 일본은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가 7일, 한국은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이 8일 각각 트럼프와 통화를 가졌다.

레빗은 이날 중국에 대해서는 “보복 조치를 선택했으며 미국 노동자에 대한 잘못된 대우를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는 트럼프의 전날 발언을 확인하며 “9일 0시 1분에 발효된다”고 했다. 트럼프가 1월 취임 후 펜타닐 반입을 문제 삼아 중국에 20%(10%+10%) 관세를 부과했고, 9일부터 34%의 국가별 상호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도합 104%의 대중(對中) 관세가 시행되는 것이다. 레빗은 “보복 조치는 중국의 실수”라며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트럼프는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중국이 (미국과) 협상하기를 원한다고 믿는다”고 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CNBC에 “우리가 그들에게 수출하는 양이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양의 5분의 1밖에 안 된다”며 “중국이 관세를 부과해봤자 우리가 잃을 건 거의 없다”고 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8일 상원 재무위원회에 출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