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워싱턴 DC의 전국 공화당 행사에서 무대에 올라 발언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지난 2일 발표한 34%에서 84%로 50%포인트 상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중국이 상응하는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자 이같이 대응한 것으로, 백악관이 ‘관세 전쟁’ 속 한국·일본 같은 우방국엔 협상을 시사하고 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강경 모드로 일관하고 있다. 트럼프 취임 직후인 2월 초 이른바 ‘좀비 마약’이라 불리는 펜타닐 반출을 문제 삼아 이미 20%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로써 중국은 100%가 넘는 ‘관세 폭탄’을 맞게 됐다. 상호 관세는 9일 오전 0시1분(한국 시간 오전 11시1분)부터 발효된다.

이날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을 보면 중국 관세위원회가 10일부터 중국으로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을 언급하며 “이 보복에 대응해 중국에 부과되는 관세를 인상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고 했다. 트럼프는 “이런 조정은 미국의 국가 안보와 경제에 대한 위협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고 적합하다”며 관세법을 고쳐 중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 관세율 34%를 84%로 상향 조정했다. 이날 오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이를 확인한 지 반나절도 안 돼 이뤄진 조치다.

트럼프는 상무장관,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유관 기관의 고위 당국자들을 호명하며 “국제경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하는 이 명령을 이행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중국은 상호 관세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34%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고, 반도체 소재 등 첨단 제품 생산에 필수인 7개 희소 광물을 수출 통제 품목으로 지정했다. 이에 대해 레빗은 “보복 조치는 실수”라며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우리가 그들에게 수출하는 양은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양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며 “중국이 관세를 부과해봤자 우리가 잃을 건 거의 없다”며 강공을 예고했다.

다만 트럼프는 이날 공화당의회의원회(NRCC)가 주최한 행사에 참석해 “어느 시점에는 중국이 관세를 협상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들이 우리와 합의를 이룰 때까지 관세의 효력이 유지된다. 이제 중국은 큰돈을 내 우리의 재정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백악관도 “중국이 협상을 위해 연락을 할 경우 대통령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관대할 것”이라며 협상의 문을 열어뒀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