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백악관은 10일 공개한 ‘무역 파트너의 보복과 지지를 반영하기 위한 상호 관세율 수정’ 행정명령에서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41%포인트 오른 125%로 대체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이미 중국산 펜타닐 원료 유입을 문제 삼아 20%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가 도합 145%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발효 시점은 10일 오전 0시 1분부터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CNBC 등 언론에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은 145%”라고 밝혔다. 트럼프가 전날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에 대한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방침을 밝힌 가운데, 이날 행정명령에는 상호 관세가 10일 오전 0시 1분부터 유예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케빈 헤싯 백악관 국제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중국에 대해 “중국 제품으로 가득 찬 배들이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많은 혼란을 겪을 것”이라며 “이것이 중국이 나쁜 행동을 멈추고 테이블에 앉도록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도 이날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중국과 협상을 하고 싶다”며 “양국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매우 존중한다”며 “그는 오랜 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내 친구였다. 모두에게 좋은 결과로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중국은 앞서 미국에 84%의 ‘맞불 관세’를 부과했지만 관세율을 41%포인트 더 올린 트럼프 결정에 대해서는 상응하는 관세율 인상을 하지 않은 상태다.

한편 트럼프는 이날 상호 관세 유예 기간인 90일 뒤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또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엔 “애초 책정한 상호 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일본과의 상호방위조약을 거론하며 “미국이 공격당할 경우 일본의 대미(對美) 방어 의무는 없다”며 “우리는 수천억 달러를 들여 그들을 지키는 데 쓰는 반면 그들은 어떤 것도 지불하지 않는다”고 했다. 무역·산업·안보를 포괄하는 이른바 ‘원스톱 쇼핑’을 원한다고 말한 직후 나온 발언이라 전날 한국에 이어 일본과도 패키지 딜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