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21일 “USTR과 인도 상공부가 상호 무역 협상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업무 범위(Terms of Reference·TOR)를 최종 확정했다”며 “이번 협상이 미국 제품의 신규 시장 개방과 미국 노동자에게 해로운 불공정 관행을 해결함으로써 무역 균형, 상호주의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2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나롄드라 모디 인도 총리 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발족한 미·인도 간 무역 협정(BTA) 협상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으로, 24일 미국과의 2+2(재무·통상) 협의가 예정돼 있는 한국이 참고할 만한 주요 사례 중 하나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인도에 10% 기본 관세와 함께 26%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이를 유예했다. USTR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과 인도 양국의 총 상품 무역 규모는 약 1292억 달러(약 183조5930억원)인데, 인도의 대미 관세율은 17%로 주요 경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평균적으로 적용한 관세율은 3.3%로 트럼프를 비롯한 미 고위 당국자들은 이에 대한 시정 조치를 요구해왔다. 미국은 지난해 인도와의 상품 무역에서 457억 달러 무역 적자를 기록했는데 모디 총리가 방미(訪美) 당시 트럼프 앞에서 관세 인하를 약속한 바 있다.
J D 밴스 부통령은 21일 인도 뉴델리를 방문해 모디와 만나 무역 문제를 논의했다. USTR은 “이번 TOR 발표는 우리의 가장 전략적 파트너인 인도와의 상호 무역을 달성하기 위한 협상에서 중요한 진전”이라며 “양국이 무역 협상을 개시한 이래 진행한 중요한 작업을 한 단계 높이는 것”이라고 했다. 또 “미 국민에게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단계”라며 “인도 측의 건설적인 협조가 환영받았다”고도 했다. 트럼프 정부가 상호 관세 부과를 유예한 이후 양자(兩者) 무역 협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진전 중 하나다. 인도를 방문 중인 밴스와 별도로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인도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 출범 후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도 인도를 방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