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 “향후 2~3주 내에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며 관세율 조정을 시사했다. 미국은 현재 중국산 수입 제품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전날 “매우 높은 수치”라고 말한 것에서 더 나아가 “향후 2~3주”라는 구체적인 시점까지 거론한 것이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미·중이 상호 부과한 ‘폭탄 관세’에 대해 “금수 조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출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중국과도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는 “어떤 기업·국가와 협상을 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가 관세를 정할 것”이라며 “2~3주 안에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관세율을 정할 예정이다. 중국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결국 훌륭한 협상을 할 것” “시진핑 주석과 특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이제는 중국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 말해 중국을 의식한 유화적인 제스처로 해석됐다. 현재 미·중 간 무역 협상이 공식 개시된 상태는 아니다. 하지만 트럼프는 중국과의 직접 협상 여부에 대해 “매일 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는 이날 오전에도 백악관 앞에서 기자들과 예정에 없던 즉석 질의응답을 갖고 중국과의 협상과 관련해 “(합의는) 공정할 것” “(협상의) 모든 것이 적극적”이라고 했다. 트럼프가 주도하는 ‘관세 전쟁’의 주무 장관이 된 베센트 역시 이날 국제금융연구원(IIF) 행사에서 ‘긴장 완화가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 중국의 대미(對美) 관세 인하를 의미하냐’는 질문에 “그렇게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가 대중 관세를 현재 누적 145%에서 50~65%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