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에서 직장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밤늦도록 야간 근무를 한 뒤 피곤한 상황에서도 좀처럼 눈이 감기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면 주목해야 할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야근 교대 근무자의 절반 이상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수면장애를 겪는다는 것이다.

10일(현지시각) 헬스데이뉴스 등 의학 전문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신건강 연구소 행동·사회과학 연구팀은 근로 패턴과 수면 습관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해 나온 결과를 국제학술지 ‘첨단 정신의학’(Frontiers in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는 근로자 3만7000여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불면증 ▲수면과다 ▲사건수면(몽유병, 악몽 등) ▲수면 관련 호흡장애 ▲수면 관련 운동장애 ▲수면·각성장애 등 6가지 유형의 수면장애가 있는지 묻고 개인의 수면 습관을 살폈다.

그 결과 전체의 3분의 1이 최소한 한 가지, 13%가 두 가지 이상의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낮 시간대의 정규 교대 근무자보다 야간 교대 근무자와 정규 야근 근무자들에게 더 많은 수면장애가 관찰됐다. 규칙적으로 야근을 하는 사람의 경우 51%가 한 가지, 26%가 두 가지 이상의 수면장애를 앓고 있었다.

성별로 비교해 봤을 때 남성이 여성보다 수면 시간이 짧았다. 그러나 수면장애는 반대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연령대를 보면, 나이가 많은 사람이 수면 시간이 더 짧았으나 수면장애는 30세 이하 젊은 층의 근로자에게 많이 나타났다.

그렇다면 야간 근무자의 경우 언제 자는 게 더 효율적일까. 앞서 국내 연구진은 교대 근무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높은 각성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면 패턴을 찾아냈다. 이에 따르면 야간 근무 전후에 몰아서 자는 것보다, 근무 직후 일주기 리듬에 맞는 최소한의 수면만을 취한 후 야근 직전 충분한 낮잠을 자는 것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