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소아과가 붐비고 있다. /뉴스1

인플루엔자(독감)로 의심되는 환자 수가 최근 4주 새 1.6배로 느는 등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이후 최고 수준을 찍었다. 특히 소아·청소년 의심 환자 수는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의 최대 20배까지 치솟았다.

15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도 49주차(12월3일~9일)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천분율)는 61.3명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48.6명)보다 26.1%, 3주 전인 11월 3주(37.4명)보다 63.9%나 늘었다.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로, 특히 초·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 유행세가 거셌다. 연령별 의사환자는13~18세에서 133.4명으로 유행기준의 20.5배나 됐다. 7~12세에서는 120.1명으로 유행기준의 18.5배였다. 이어 △19~49세 78.9명 △1~6세 49.5명 △50~64세 34.5명 △65세 이상은 15.3명순이었다.

병원급 입원환자 표본감시(218개소)에서 같은 기간 인플루엔자 입원환자 수는 1047명으로, 지난주(797명)보다 31.4% 늘었다. 입원 환자 중 65세 이상이 40.3%로 가장 많았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입원환자는 최근 2주간 감소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11월 3주 233명에서 11월 4주 288명으로 늘었다가 12월 1주 258명, 지난주 222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2019년 같은 기간(596명)의 약 37% 정도다.

인플루엔자 감염 시 폐렴 등 합병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은 반드시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또 손 씻기, 기침 예절, 마스크 쓰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 등을 공동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아동의 호흡기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질병청은 지난달 정부비축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 등) 31만6000명분을 공급했으며 추가 공급을 추진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 우선 사용하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내성 환자에 사용 가능한 항생제의 사용범위 확대를 관련 학회와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