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질환(잇몸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치주질환은 치아 주변 잇몸·치주 인대·치조골 등에 염증이 생긴 상태다. 치아 주위 조직이 바람든 듯 붓고 피난다고 해 ‘풍치’라고도 불린다.
성균관대 의대 사회의학과 신명희 교수 연구팀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9491명의 데이터로 치주질환과 당뇨병 사이 연관성을 관찰해 얻은 이 같은 결과를 국제학술지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을 당뇨병 그룹(4050명)과 비당뇨병 그룹(2만5441명)으로 나누고 치주질환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봤다. 여기서 당뇨병은 기존 당뇨병과 최근 5년 이내 발병한 신규 당뇨병으로 세분화했다. 그 결과 치주질환은 기존 당뇨병과 신규 당뇨병 환자의 발병 위험을 각각 1.51배와 1.74배 높였다.
이런 현상은 젊은 층에서 유독 두드러졌다. 20세부터 44세까지 연령대를 봤을 때, 치주질환과 함께 체내 염증 수치가 3㎎/L 이상으로 높은 경우 신규 당뇨병 위험은 무려 23.31배까지 치솟았다. 신 교수는 “치주질환이 심할수록, 당뇨병이 새로 발병한 것일수록, 젊은 층일수록, 혈액 내 염증 수치가 높을수록 두 질환 간 연관성이 컸다”고 설명했다.
치주질환의 주된 원인은 치아 표면에 딱딱하게 붙은 치태다. 남은 음식물 찌꺼기와 구강 내 세균들이 합쳐져 만들어진, 쉽게 말해 세균 덩어리다. 치태는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잇몸이 붓거나 피·고름이 날 수 있고 심해지면 잇몸뼈를 녹여 치아를 망가뜨린다.
가장 좋은 대처법은 조기 발견이다. 염증이 심해지기 전 치과를 찾아 스케일링이나 간단한 잇몸치료를 받으면 된다. 그러나 그대로 방치하면 당뇨병을 넘어 심부전 같은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도 있다. 심부전은 심장 기능이 떨어져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