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국회 통제가 이뤄진 것과 관련해,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조지호 경찰청장의 주장이 배치돼 논란이다. 국회를 한때 전면 통제했던 조지호 청장은 박안수 당시 계엄사령관이 밤 11시 30분쯤 직접 전화를 걸어 “국회 전체를 통제해줬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박 총장은 국회 병력 투입 과정을 몰랐다고 주장했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5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해 국회 병력 투입 과정을 몰랐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엄군의 국회 투입에 대해서도 “누가 결정했는지 정확히 모른다. 제가 통제 못했다”고 말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에 계엄군이 투입된 사실도 “몰랐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받은 명령은 없다”고 했다.
반면 같은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한 조지호 경찰청장은 비상계엄 당시 국회 출입통제와 관련해 박안수 당시 계엄사령관의 요청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조 청장은 “처음에는 제가 법적 근거가 없어서 못 한다고 거부했다”며 이후 포고령 내용을 확인하고 서울경찰청에 전체 국회 출입통제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포고령 1호에 있던 ‘국회와 지방의회, 정당의 활동과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활동을 금한다’는 규정을 근거로 했다고 덧붙였다.그러면서 “계엄사령관의 포고령이 발령되면 모든 행정기관은 이를 따를 의무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성회 민주당 의원이 “박안수 사령관은 지금 국회 병력 투입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직접 통화한 것이냐”고 묻자 조 청장은 “그렇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