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21일 ‘라임 사건’ 정·관계 로비 관련 검찰 수사가 여야(與野)에 따라 편향된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재차 주장했다.
그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검찰은) 여권 정치인들에 대해 캐묻고 회유하는 조사를 반복했다. 여권정치인들에 대한 피의사실도 언론을 통해 마구 흘러나왔다”면서 “반면 야권 정치인과 검사들에 대한 향응제공 진술이 있었으나 지검장은 총장에게 대면보고에 그쳤고 그 누구도 알지 못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법무부도 지난 16일부터 사흘간 해당 의혹을 제기한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과 수사팀을 상대로 감찰 조사를 한 결과, “'검사장 출신 야권 정치인에 대한 억대 금품 로비'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종필 체포 후 야당 정치인 관련 계좌추적까지
그러나 당시 수사팀을 비롯한 검찰 내부에서는 “야당 정치인 수사는 제대로 이뤄졌다”는 상반된 얘기가 나온다. 또 야권 정치인에 대한 진술은 김 전 회장이 아니라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 입에서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남부지검 수사팀은 지난 4월말 김 전 회장과 함께 도피 중이던 이 전 부사장을 체포한 뒤 이 전 부사장으로부터 관련 진술을 확보했다. 2019년 4월부터 우리은행에서 라임 펀드 판매를 중단하자 펀드 설계와 운용을 책임졌던 이 전 부사장이 당시 우리은행장과 대학 동문인 윤갑근 전 대구고검장(국민의힘 충북도당위원장)에게 로비를 맡기고 법률 자문료 명목으로 2억2000만원을 송금했다는 내용이었다.
지난 5월 송삼현 당시 남부지검장이 검찰총장 주례보고를 통해 관련 내용을 보고했고, “검찰 출신이니 말이 나오지 않게 더 철저히 수사하라”는 취지의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 이후 남부지검 수사팀은 A변호사의 자문료 수수가 불법인지 법리 검토를 하는 동시에 관련자들에 대한 통신 영장과 계좌 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수사했다고 한다.
◇ “김봉현은 야당 정치인 언급 안해, 여권만 8명”
또, 수사팀 관계자는 “김봉현은 야당 정치인에 대한 진술을 한 적 없다”며 “윤 전 고검장 관련 진술은 이종필 전 부사장이 했는데, 직접 관련이 없는 김봉현이 의혹 제기를 한 셈”이라고 밝혔다.
대신 김 전 회장은 검찰 수사를 피해 도피하던 때부터 여권 인사들에 대한 로비를 언급했다. 김 전 회장은 도피 중이던 지난 3월 측근에게 현직 청와대 고위인사,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 기동민 민주당 의원, 이상호 전 더불어민주당 부산 사하을 지역위원장 등을 ‘여권 로비 대상’으로 밝히며 언론에 이런 사실을 흘리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체포된 후 검찰 수사에서도 이런 내용을 주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