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법무부 검사징계위 징계위원인 신성식 대검 반부패강력부장이 KBS의 ‘채널A 사건’ 오보(誤報)와 관련해 한동훈 검사장 명예훼손 혐의 피의자로 특정된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이는 지난 7월 KBS가 ‘한동훈 검사장이 총선을 앞두고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와 함께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관련 의혹 제기를 공모했다’고 오보했는데 그 ‘취재원’이 신 검사장일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윤 총장 측은 15일 징계위에서 신 검사장에 대해 기피 신청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추미애 법무장관은 윤 총장 징계 사유 중 하나로 ‘채널A 사건 수사·감찰 방해’를 제시했다. 이 때문에 서울중앙지검의 채널A 수사 과정에서 KBS에 허위 사실을 제공하며 ‘언론 플레이’를 한 혐의의 당사자가 윤 총장 징계위원이 된 것은 ‘이해 충돌에 해당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시 신 검사장은 서울중앙지검 3차장이었다. KBS는 지난 7월 해당 보도를 한 다음 날 사과 방송을 했으며, 이후 공개된 KBS 기자와 검찰 관계자 간 통화 녹취록의 당사자로 신 검사장이 지목돼 왔다.
이런 이유로 검찰 내부에선 일찌감치 “신 검사장이 징계위원으로 참여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선후배는 물론 동료 검사들도 신 검사장에게 징계위원 사퇴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검사장이 지난 11일에 이어 14일도 연가를 낸 것 역시 이런 검찰 내부 분위기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란 말이 나왔다.
현재로선 신 검사장이 지난 10일 1차 징계위에 이어 15일 2차 징계위에도 참석할 것이란 전망이 다수다. 한 검찰 관계자는 “신 검사장이 2차 징계위에 출석해 정족수(4명)를 채워주고 중징계 의결에서는 반대·기권하는 식으로 공정성을 기하는 모양새를 갖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7명이 정원인 징계위는 징계 청구자인 추 장관, 1차 징계위에 불참한 판사 출신 외부 위원, 1차 징계위 도중 스스로 ‘회피’한 심재철 검찰국장이 제외되면서 4명만 남아 정족수(7명 중 4명 이상)를 겨우 채운 상태다. 신 검사장이 불참하면 징계위가 아예 무산되는 상황이다.
이날 검찰 내부에선 “신 검사장이 안 나오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해 법무부가 임은정 대검 감찰연구관을 예비위원으로 지정해놨다”는 얘기가 파다했다. 지난 9월 대검 감찰부로 ‘원포인트’ 발령 난 임 연구관은 평소 페이스북을 통해 윤 총장을 강하게 비판해 왔다. 한 검사는 “정한중 외대 교수에 이어 임 연구관까지 입맛에 맞는 인사를 징계위에 투입한다면 이는 징계 절차 농간”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