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현관 앞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기자들과 만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날 윤 총장은 "이 나라를 지탱해온 헌법 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다. /장련성 기자

4일 사의를 표명한 윤석열 검찰총장이 검찰 직원들에게 보낸 글에서 “이제 그토록 어렵게 지켜왔던 검찰총장의 직에서 물러난다”며 “검찰의 권한을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다. 우리 사회의 정의와 상식,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라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사의 표명 한시간여만에 즉각 사표를 수리하면서 이날을 끝으로 검사 생활을 마무리 하게 된 윤 총장은 이날 검찰 전체 구성원에게 ‘검찰가족께 드리는 글’을 보냈다.

윤 총장은 해당 글에서 “검사의 수사지휘권이 폐지되고 검찰의 직접수사 영역이 부패범죄 등 6대 중대범죄로 한정된 지 이제 두 달이 지났다.새로 시행된 형사사법 제도에 적응하시느라 애를 많이 먹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 와중에, 최근 검찰의 수사권을 완전히 박탈하여 검찰을 해체하는 내용의 법안들이 발의되어 더 혼란스럽고 업무 의욕도 많이 떨어졌으리라 생각된다”고 했다.

윤 총장은 “총장으로서 안타깝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저는 이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 헌법이 부여한 저의 마지막 책무를 이행하려고 한다. 오늘 검찰총장의 직을 내려놓습니다”라고 했다.

윤 총장은 “저와 여러분들은 개인이나 검찰조직의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오직 국민만을 바라보며 일해 왔다고 자부한다. 검찰의 수사권 폐지와 중대범죄수사청 설치는 검찰개혁이 아니다. 대한민국 법치주의를 심각히 훼손하는 것”이라며 “수사와 재판 실무를 제대로 해 보지 않은 사람들은 이러한 졸속 입법이 나라를 얼마나 혼란에 빠뜨리는지 모를 것”이라고 했다.

윤 총장은 “재판 과정에서 힘 있는 자들은 사소한 절차와 증거획득 과정에 대해 문제를 삼는 경우가 많아 처음부터 수사에 관여하지 않은 검사는 이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중대범죄에서 수사는 짧고 공판은 길다는 것, 진짜 싸움은 법정에서 이루진다는 것을 우리는 매일 경험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수사권을 완전히 박탈하는 시도는 사법 선진국에서는 도저히 찾아볼 수 없는 일이다. 검찰 수사권이 완전히 박탈되고 검찰이 해체되면 70여년이나 축적되어 온 국민의 자산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특권층의 치외법권 영역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국민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고 했다.

윤 총장은 “저는 작년에 부당한 지휘권 발동과 징계 사태 속에서도 직을 지켰다. 헌법 정신과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서였다”며 “여러분들께서 보내주신 지지와 응원이 큰 힘이 되었다”고 했다.

윤 총장은 “검찰가족 여러분! 엄중하고 위급한 상황이지만, 국민들만 생각하십시오. 동요하지 말고 항상 국민을 섬기는 자세로 본연의 업무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란다”며 “제가 지금껏 총장직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여러분들의 덕분이었다. 끝까지 여러분들과 함께 하지 못해 죄송하다. 그동안 제게 주신 과분한 사랑에 머리 숙여 깊이 감사드린다. 평생 잊지 않겠다”고 글을 끝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