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는 27일 검찰인사위원회를 끝낸 뒤 내달 초 예정된 대규모 검찰 인사에 대해 “능력과 전문성, 출신 지역과 학교, 검찰 개혁에 대한 수용 자세 등이 기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 내부에선 다른 얘기가 나오고 있다. 지난 2월 소폭으로 단행된 인사와 달리, 청와대는 이번 인사에서 정권과 다른 목소리를 냈던 고검장 ‘물갈이'를 통해 검사장 인사 폭을 넓힌 다음, 그 자리에 친정권 검사들을 앉히려 한다는 것이다. 법무부와 검찰 안팎에서는 “정권 교체 이후에 ‘안전핀’을 많이 만들어 두려는 ‘대못 박기’ 인사”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청와대가 김오수 검찰총장 임명을 강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검찰 인사의 핵심은 전국에서 가장 민감한 사건이 몰려 있는 서울중앙지검장 인사다. 지금으로선 이성윤 현 중앙지검장이 교체되고 또 다른 ‘친정권’ 검사가 그 자리에 배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 지검장이 유임된다면 법무장관과 법무차관,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장 등 법무·검찰의 ‘사령탑’ 4자리가 피의자 또는 피고인으로 채워지는 모양새가 된다. 한 법조인은 “현 정권도 그런 상황은 부담스럽기 때문에 이 지검장을 교체할 것이 유력하다”며 “그러면서 이 지검장은 ‘고검장 승진’으로 배려할 것”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택시기사 폭행 사건’의 피의자인 이용구 법무차관 역시 검찰이 기소하기 전에 사퇴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성윤 지검장 후임으로는 김관정(연수원 26기) 서울동부지검장, 이정수(26기) 법무부 검찰국장, 심재철(27기) 서울남부지검장이 거론된다. 공통점은 ‘친여 검사’라는 것이다.

김 지검장은 ‘군 휴가 미복귀 사건’으로 수사를 받았던 추미애 전 법무장관 아들을 무혐의 처리했다. 이 검찰국장은 서울남부지검장 때 추 전 장관이 지휘권 발동을 했던 ‘라임의 검사 로비 의혹’을 수사했고 박범계 법무장관의 고교 후배이기도 하다. 심 지검장은 대검 반부패부장 시절 ‘유재수 감찰 무마’ 사건과 관련해 조국 전 법무장관의 무혐의를 주장했고, 추 전 장관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 핵심 징계 사유로 내세웠던 ‘판사 동향 문건’을 대검에 제보했던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