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전·현직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 포렌식 위법성’ 논란과 관련해, 김오수 검찰총장은 12일 기자단과 만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연락하지 않았다. 믿어줬으면 좋겠다”고 해명했다. 앞서 대검 감찰부(부장 한동수)가 대검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뒤, 공수처가 대검 감찰부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포렌식 자료를 확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공수처가 감찰부에 ‘하청 감찰’을 한 것”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김오수 검찰총장이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자료 정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김 총장은 이날 오후 2시쯤부터 1시간가량 대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검 감찰부에 확인했는데 공수처와 연락한 일은 없다고 한다. 공수처도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며 공수처와의 사전교감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에 비밀은 없으니 믿어줬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이날 자리에는 김 총장 외에도 대검 박성진 차장검사, 예세민 기획조정부장, 권상대 정책기획과장과 기자 7명이 참석했다.

김 총장의 해명에도 법조계에선 “대검 감찰부가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직후에 공수처가 압수수색에 나선 상황 자체가 석연치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공수처는 지난 7월말 이미 한 차례 대검 감찰부를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그런데 대검 감찰부가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지 일주일만인 지난 5일 공수처가 재차 감찰부를 압수수색한 데 대해 ‘사전교감’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한 법조인은 “아무런 교감이 없었다는 공수처가 어떻게 알고 하필 그 시기에 대검 감찰부 압수수색에 나서게 된 건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김 총장은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가 공기계 상태라면 굳이 임의제출을 받아 포렌식 할 이유가 있는가’라는 기자단 질의에 “감찰부가 ‘혹시’하는 생각으로 한 것 같긴 하다”며 “굳의 선의로 해석하면 제로(0)가 제로인 걸 확인하려고 한 것 아닐까 생각한다. (관련 정보가 남아 있을) 1%의 가능성이 있어서 압수한 것인데 그래도 제로였다”고 말했다. 이미 여러 차례 초기화 과정을 거친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에서 아무런 정보도 복원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서울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김 총장의 인식은 궤변”이라며 “김 총장의 공용 휴대전화도 포렌식 해본 뒤 아무 내용을 발견하지 못했으니 그냥 넘어가자고 하면 동의할 것인가”라고 했다.

김오수 총장은 ‘감찰부도 대검 조직인데 검찰총장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는 기자단의 요구에 “지금은 감찰 조사가 진행 중이고 제가 관여할 수 없는 사안이라 사과를 언급하는 건 부담스럽고 적절치 않다”며 명시적인 사과 표명을 하지 않았다.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앞서 대검 감찰부는 지난달 29일 ‘고발 사주 의혹’과 ‘윤석열 후보 장모 대응 문건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진행하겠다며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형태로 입수해 포렌식을 진행했다. 서인선 현 대변인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절 재직했던 이창수·권순정 전 대변인이 사용한 기기다. 이 과정에서 감찰부는 대변인들의 입회 과정 없이 포렌식을 진행했고, 이후 지난 5일 고발 사주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감찰부를 압수수색해 포렌식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검 출입기자 중 다수는 취재·소통 창구이면서 상호 신뢰하에 민감한 내용이 오갈 수 있는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가 통째로 포렌식된 데 대해 “언론 취재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며 반발했다. 그러나 김 총장은 지난 10일 오후부터 오는 15일까지 ‘발치(拔齒·이를 뽑음) 치료 후 휴식’을 이유로 휴가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