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팬클럽 회원들과 한동훈 검사장(사법연수원 부원장) 가족들에 대한 통신 자료 조회도 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공수처 수사3부(부장 최석규)는 작년 10월 5일 통신 자료 조회를 통해 서울 종로구에 사는 50대 가정주부 김모씨의 휴대전화 가입자 정보(성명·주민등록번호·주소 등)를 통신사로부터 넘겨받았다.
김씨는 2020년 8월쯤 각각 윤 후보와 한 검사장의 팬클럽 네이버 카페인 ‘22C 대한민국과 윤석열’과 ‘위드후니’에 가입했다. 김씨는 본지에 “정치에 전혀 관심이 없다가 ‘조국 일가 입시 비리’ 사건 등을 보며 학부모로서 분개해 윤 후보를 응원하게 됐다”며 “카페에 윤 후보 응원 글 올리는 정도 활동을 한 것이 전부인데 공수처로부터 통신 조회를 당했다는 사실이 너무 무섭다”고 했다.
이날까지 해당 윤 후보 팬 카페에는 김씨 외에 다른 회원 2명도 공수처로부터 통신 자료 조회를 당했다고 한다. 그들 역시 서울에 사는 50~60대 주부로, 공수처 수사3부로부터 작년 10월 5일 통신 자료 조회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수처는 이들의 통신 자료 조회를 한 이유에 대해 이날도 “모든 수사를 적법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으며 진행 중인 개별 수사의 구체적인 내용은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작년 9월 당시 수사3부는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 수사를 본격화했다. 법조계에서는 “윤 후보 주변을 무리하게 뒤지다가 벌어진 일인 것 같다”는 말이 나왔다. 이들 3명은 모두 “윤 후보나 한 검사장 등 ‘고발 사주’ 의혹 수사 대상자들과 연락한 적도 없다”고 했다.
회원 수 약 9500명인 윤 후보 팬 카페는 운영진들이 회원 전화번호를 수집하거나,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을 운영하고 있지도 않다고 한다. 통신 자료 조회를 당한 세 사람은 서로 모르는 사이지만, 작년 윤 후보가 국민의힘 입당을 조율하던 시기에 국민의힘 당원 가입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 법조인은 “만약 야당 입당이 통신 자료 조회의 근거였다면 명백한 정치 개입으로 상당한 파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중 한 명은 본지 통화에서 “조국 사태가 터지고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 마음으로 윤석열 검찰총장을 지지했던 평범한 주부”라며 “공무원을 준비하는 대학생 자녀에게 피해가 갈까 봐 두려워 잠을 못 자고 있다”고 했다.
한편, 공수처 수사3부가 작년 9월 한동훈 검사장에 이어 작년 10월 한 검사장 아내와 미성년 자녀의 통신 자료를 조회한 사실도 이날 새롭게 드러났다. 한 검사장은 입장문을 내고 “오래 수사를 해왔지만, 수사기관이 이렇게 인권이나 헌법 무서운 줄 모르고 막 나가는 것은 보지도 듣지도 못했다”라며 “정상적인 수사 방식이 아니다. 누가, 어떤 이유로, 어떤 절차를 거쳐서 이런 일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 책임을 물어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