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중단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가 11일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 장하원(63)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를 재소환했다. 첫 조사 뒤 이틀 만이다.

장하성 주중 한국 대사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일인 4일 베이징 메인미디어센터를 방문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년 기업·하나은행 등이 투자금을 모집한 이 사모펀드에는 당시 청와대 정책실장이던 장 대사 부부와 김상조 당시 공정거래위원장도 60억원, 4억원씩 투자했다. 경찰은 장 대표가 장 대사 등 특정 투자자에게 손실을 보전해줬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사는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금융 당국이 조사한 영역과는 별개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미국 투자운용사를 통해 미국의 핀테크기업에 투자했는데 2019년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수익률 허위 보고를 적발한 뒤 자산을 동결하면서 400여 명의 피해자가 2562억원 정도의 피해를 입었다. 부실 운용 여부를 조사한 금융감독원은 작년 2월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중징계를 의결했고, 금융위원회에서 심의 중이다.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고려대 경영대도 2017년 교내 기업지배구조연구소 기금 7억원을 이 펀드에 투자했다. 장 대사가 설립해 청와대에 들어가기 전까지 소장을 지낸 연구소인데 고려대 이사회의 심의·의결 없이 투자해 교육부로부터 경고를 받았다. 장 대사가 2015년부터 1년간 회장을 지낸 한국금융학회도 1억원가량의 자금을 투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사가 동생의 펀드를 주변에 적극적으로 권유했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이의환 피해 대책위원회 상황실장은 “설립된 지 6개월, 전문 사모투자업으로 등록한 지 11일밖에 안 된 회사의 상품을 기업은행이 적극적으로 팔아준 배경에 대한 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