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은 자신을 변호하던 변호사들이 김의겸 민주당 의원과 통화하며 수사 상황을 유출했던 정황이 재판에서 공개된 것에 대해 “‘가짜 변호사’들이 내 의사도 묻지 않은 채 나를 정치에 이용했다. 민주주의 파괴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유씨는 8일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변호사가 피의자 동의도 받지 않고 정치인에게 전화해 수사 상황을 유출한 건 변호사 윤리를 저버린 행위”라며 위와 같이 밝혔다. 전날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재판에서 검찰은 작년 10월 18일 유씨를 변호하던 김모·전모 변호사가 김 의원과 통화한 내역을 제시했다. 두 변호사가 김 의원과 통화한 것은 국정감사 당일이었는데, 김 의원은 이어진 국감에서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을 상대로 수사 상황을 묘사하며 ‘유동규씨 회유·협박’ 의혹을 제기했었다. 이후 두 변호사가 김용씨 등 민주당 인사들과 친분 관계가 있다는 사실 등이 알려지면서 ‘가짜 변호사’ 의혹이 일기도 했다.
유씨는 두 변호사가 김 의원과 통화한 사실을 전날 재판에서 처음 알았다고 밝혔다. 유씨는 “내가 선임 의사를 밝히지도 않았던 변호사가 내게 알리지도 않고 김 의원과 통화하며 상황을 왜곡해 전달했다”면서 “나를 달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김 의원과 내통하며 나를 정치에 이용한 것”이라고 했다. 유씨는 두 사람을 ‘가짜 변호사’라고 부르면서 “민주주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절대 해서는 안 될 행위”라고도 했다.
검찰은 전날 재판에서 ‘가짜 변호사’ 의혹과 관련해 “(이들은) 유동규씨를 위해 변론 활동을 하는 게 아니라 김용씨 또는 이재명 대표를 위해 유동규씨가 진술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김용씨 측은 “당시 유동규씨는 이미 자백한 상태라 염탐이든 뭐든 할 수조차 없었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유씨는 지난해 10월 자신의 석방이 결정되자 김 의원이 “뒤로 밀실 거래와 협잡이 있었던 것으로 의심된다”면서 검찰의 유씨에 대한 회유·압박 의혹을 재차 제기한 데 대해서도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씨는 “당시 검찰은 내가 새로 기소된 사건을 기존 사건과 병합 신청하는 등 구속 기한 연장을 위해 모든 조치를 취했다”면서 “법원이 사건을 병합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구속기한 만료로 석방된 것인데, 마치 내가 검찰과 부정한 거래를 한 것처럼 묘사했다”고 했다. 유씨는 “그 사람들 입장에선 내가 (구치소를) 나와서는 안 되는 인물이고 감시 대상이었을 것”이라고도 했다.
유씨는 기독교복음선교회(JMS)의 성폭력 의혹을 다룬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를 언급하며 “이재명 대표와 주변 인사들도 사이비 교주와 신도처럼 보인다. 사실로 드러난 의혹들도 왜곡하고 부인한다”고 하기도 했다. 유씨는 “사이비 단체에서 탈퇴한 전직 신도들의 인터뷰 장면을 보며 ‘내 처지와 비슷하다’고 생각 했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