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김용현에 직접 질문 - 윤석열(왼쪽)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변론에 출석해 김용현(오른쪽)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질문을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계엄을 선포한 이후 두 사람이 공개 석상에서 만난 건 처음이다. /헌법재판소

비상계엄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 장관이 2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첫 번째 증인으로 출석했다.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이후 김 전 장관과 공개 석상에서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전 장관은 이날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네 번째 공개 변론에서 윤 대통령이 받는 내란 혐의와 관련 의혹을 부인하는 증언을 여러 차례 내놓았다. ‘비상 입법 기구’ 관련 쪽지의 작성과 전달, 국회에 병력을 투입하는 작전 수립, 국회 정치 활동 금지 등을 담은 포고령 준비 등은 모두 “내가 했다”고 말했다.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자신의 지시는 “요원들을 끌어내라는 말을 야당 의원이 (의원으로) 둔갑했다”고 했고, 윤 대통령의 정치인 체포 지시는 “포고령 위반 우려 대상자들의 동정을 잘 살피라고 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윤 대통령이 계엄군의 민주당 당사 투입과 관련해 “계엄 선포 날 저녁에 ‘제가 절대 하지 마라. 민주당에 보낼 거면 국민의힘에도 보내야 하고, 그건 안 된다’고 자른 거 얘기 들었냐”라고 묻자, “나중에 (그렇게) 지시하신 걸 들었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 측 말에 맞장구치고, 국회 측 대리인단의 질문에는 반박하는 방식으로 답변을 이어갔다.

김 전 장관의 이날 진술은 그간 수사 발표나 국회 증언으로 알려진 것과 배치되는 부분이 많다.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 거짓말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한 헌법학자는 “김 전 장관의 증언은 중요한 참고 자료 중 하나다. 탄핵심판에서 반대 증거와 진술을 교차 검증해 사실 여부를 명확히 가려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