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형사 재판과 탄핵 심판을 맡는 변호인단이 늘고 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5일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에 변호인 선임계를 제출했다.
이로써 윤 대통령의 변호인단은 총 19명이 됐다. 배보윤·윤갑근·석동현·김홍일·송진호·이동찬·김계리·정상명·조대현·오욱환·송해은 변호사 등 11명은 형사 재판과 탄핵 심판을 모두 수행한다.
당초 윤 대통령은 탄핵소추된 직후까지만 해도 변호인단을 꾸리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심판 첫 준비기일이었던 작년 12월 27일까지 선임된 변호사는 3명뿐이었다. 이후 조대현 전 헌법재판관과 정상명 전 검찰총장 등이 합류하면서 점차 규모가 늘었다.
초반에는 서울대 동문이나 검사 출신들이 주를 이루는 듯 했지만, 최근에는 40대의 젊은 변호사들도 합류하면서 변호인단의 구성이 다양해졌다.
형사와 헌법 재판을 모두 맡은 김계리 변호사(41·사법연수원 42기) 가 대표적이다. 검정고시 출신인 김 변호사는 2010년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서울시 공익변호사와 대한법조인협회 공보이사 등을 지냈다.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2022년 서울시교육감 예비후보였을 당시 선거 캠프에서 대변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세월호 변호사’로 알려진 배의철 변호사(48·41기)는 윤 대통령의 공수처 수사부터 형사 재판까지 변호를 맡고 있다. 배 변호사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진도 팽목항에서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의 법률 대리인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배 변호사 역시 검정고시 출신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나와 2008년 변호사가 됐다.
삼성전자 출신의 이동찬 변호사(44·변호사시험 3회)도 형사·헌법 재판을 모두 맡고 있다. 이 변호사는 회사를 관두고 경북대 로스쿨을 졸업해 33세에 변호사가 됐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의 한 변호사는 “헌재의 불합리한 재판 진행 등에 젊은 변호사들 참여가 늘고 있는 것 같다”며 “젊은 변호사들이 탄핵심판에서 증인 신문을 직접 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